우리나라의 인구경쟁력이 16년 뒤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에 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연구원이 11일 발표한 '인구경쟁력의 국제 비교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경쟁력 순위는 OECD 29개 회원국가운데 2010년 17위(0.380)에서 2020년에 16위(0.460)로 올라서겠지만, 다시 2030년에는 21위(0.414)로 추락한다.
인구경쟁력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사회복지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보다 인구 고령화가 먼저 시작된 일본은 2010년 18위(0.372)에서 2020년 22위(0.407)로 하락한 뒤 2030년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20위(0.42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30년 기준 인구경쟁력 1위는 이스라엘(0.607)이었고, 다음은 미국, 아일랜드, 호주, 스위스, 캐나다 순이었다. 이가운데 미국, 캐나다, 호주의 경우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인 결과였다.
인구경쟁력 하락에 따른 경제활력 경쟁력 지수도 한국은 2010년 14위에서 2020년 21위, 2030년 23위로 하락한다. 이는 노동시장에서 취업자의 고령화와 신규 진입 인력의 정체가 맞물리며 생기는 결과다.
한국의 사회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7위에서 2020년 4위로 급상승했다가 2030년 21위로 주저앉는다. 역시 고령인구의 빠른 증가와 유소년 인구의 감소로 복지환경이 급격히 나빠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경제활력 지수는 미국이, 사회활력 지수는 이스라엘이 각각 1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