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심포지움 '탈성직주의 시대의 교회론'이 17일 서울 서대문구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이제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동윤 기자

"목사는 본래의 인간성으로나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인간으로나 일반신자와 다를 것이 없지만, 그 맡은 직책 때문에 일반 신자와 구별된다. 전적으로 교회를 담임하고 섬긴다는 의미에서 그 직책은 교회에서 가장 존엄하고 유용한 전문가적 직책이다(기장 교단 헌법 정치편 제4장 목사 제2항 목사의 직분 부분)."

생명평화마당·제3시대그리스도연구소·청어람ARMC이 주최한 공동심포지움 '탈성직주의 시대의 교회론'이 17일 서울 서대문구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이제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초대교회 제도화 과정에서 권위 형성과 배분의 문제'라는 주제로 발제한 우진성 목사(과천영광교회)는 "우리교회 장로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가진 야외예배에서 교단(기장) 헌법 퀴즈대회를 준비한 김 집사님이 교단 헌법을 교단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읽다가 큰 은혜를 받으셨다"고 말했다.

우 목사는 "그분이 은혜를 받았다는 교단헌법 내용은 분명, 목회자와 일반 성도 사이를 존재론적으로 다른 것으로 구분해 목회자의 특권적 위치를 인정하려는 '성직주의'에 반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 목사는 "성직주의를 반대한다는 교단헌법은 종교개혁 전통을 이어받은 개신교 교단의 헌법으로써 당연한 것이었지만, 우리 교회 김 집사님은 이 구절에 그만 감동하셨다"고 회고했다.

그는 "왜 일까"라고 질문을 던지며, "개신교 교회 안에서조차 이런 반성직주의 또는 탈성직주의는 사라졌거나 구호로만 남은 채 사라지고, 다시 성직주의가 여러 형태로 부활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라고 자문자답했다.

우 목사는 한국교회의 성직주의 문제에 대해 "단순히 개혁주의 신앙 전통에 맞지 않는 것을 넘어서고 있다"며 "이 시대 한국교회의 많은 문제는 목회자의 독재적 전횡이 가능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꼬집었다.

우 목사는 "예수의 삶을 달리 말하면 죄와 맞서 싸우다 죄인을 위해 죽으신 분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된 '죄'는 두 차원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탈성직주의 모범인 예수의 삶을 거론했다.

그는 "먼저 예수에게 죄는 하나님의 사랑이 모든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도록 가로막는 모든 구조와 제도 및 이념과 태도를 뜻한다"며 "예수께서는 이 죄와 죄의 세력에 맞서 싸우셨다"고 말했다.

이어 "예수는 이러한 삶을 끝까지 신실하게 살아낸 결과, 예수님 예루살렘 종교 권력에 의해 죽임을 당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예수의 삶이 이해한다면, 예수의 복음은 본질에 있어 탈권력적임을 쉽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예수의 복음을 이어간 바울의 교회 역시, 세상의 질서 속에서 누리던 기득권을 포기하기로 선언한 공동체였다고 우 목사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바울의 교회 안에서는 성직주의나 그 어떤 배타적 특권도 설 자리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우 목사는 "교회가 '복음'을 포기하고 세상 질서 속에 편입될 때, 권력은 소수에게 집중됐었다"며 "그 권력을 부여받은 자들은 어떤 식으로든지 그 권력을 정당화하려고 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우 목사는 "현실 속에서 교회는 복음의 본질과 교회의 본질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목회자와 교회는 목회 현장에서 탈성직주의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우 목사는 탈성직주의를 위해 ▲교회가 생존과 성장을 위해 목회자에게 기대하는 추진력 있는 지도력 포기 ▲목회자를 CEO로 받아들이는 모습 포기 ▲목회자 스스로 권한을 나누고 위임할 것 ▲목회자가 계몽주의적 선각자가 되지 않도록 그 영역을 제한할 것 등을 제안했다.

한편 이날 공동심포지움은 이은선 교수(세종대)의 사회를 담당했으며, 방인성 목사(생명평화마당 공동대표)는 인사말을 전했다. 우진성 목사의 발표와 함께 백소영 박사가 '권위나눔, 여성주의적 리더십'을 양희송(청어람ARMC 대표)가 '탈성직 지향 교회의 해체와 재구성'에 대해 각각 발제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성직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