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독재에 맞서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낸 6·10 민주항쟁이 27돌을 맞았다.

'반독재 민주화 항쟁'인 6·10 민주항쟁은 4·19혁명과 5·18광주민주항쟁과 더불어 한국 현대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앞서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를 위시한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는 신군부세력과 함께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잡는 데 성공했다.

이후 제5공화국을 이끌던 전두환 대통령은 1985년 일명 '체육관 대통령'으로 불리는 간선제를 통해 연임에까지 성공했다.

하지만 이는 독재정권에 지쳐가던 민중을 자극했다. 이듬해인 1986년 개헌 서명운동에 1000만명이 동참하는 등 군부 정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에 여야가 헌법 개정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정치권을 중심으로 한 헌법 개정 움직임이 가시화되기도 했으나 1987년 4월13일 전 전 대통령이 '4·13호헌(護憲) 조치'를 내리면서 개헌 논의는 중단됐다.

이 조치를 통해 전 전 대통령이 군부독재정권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천명하면서 정국과 민심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서슬 퍼런 독재 정권 아래 드러내지 못했던 민주화를 향한 열망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책상을 '탁' 치니 '억'하며 쓰러졌다"는 말로 잘 알려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대 학생이던 박종철씨는 서울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 끌려가 물고문을 당하던 중 1987년 1월14일 숨졌다.

당시 경찰은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축소·은폐 발표했으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에 의해 고문에 대한 내용부터 경찰의 축소·은폐 시도까지 모든 사실이 만천하에 밝혀졌다.

전국에서 시위대가 들불처럼 들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같은 해 6월10일 박씨 고문치사 사건 조작·은폐를 규탄하고 호헌 철폐를 요구하기 위해 '민주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국본)'이 전국 22개 지역에서 개최한 국민대회에 24만명(주최측 추산)이 참가했다.

1987년6월10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주최의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가 경찰의 원천봉쇄에도 불구하고, 전국 18개 도시에서 가두시위 형태로 전개됐다. 서울 명동입구 도로 앞에서 시위를 저지하기 위해 경비중인 경찰병력이 도로를 완전 봉쇄하고 경비를 서고 있는 모습.(보도사진집 '그날 그거리')

경찰이 수천 명을 연행하고 국본 간부 220여명을 구속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했지만 항쟁은 명동성당을 중심으로 5일여 동안 이어졌다.

잠시 잠잠해졌던 항쟁의 불씨는 6월15일을 기점으로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당시 젊은 직장인들로 구성된 '넥타이 부대'의 가세가 결정적이었다.

같은 달 26일 전국 30여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린 민주헌법쟁취 국민평화대행진까지 참여한 인원은 500여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최루탄을 두려워하지 않고 거리로 쏟아져 나와 호헌철폐와 독재타도를 외치는 국민의 함성에 결국 전 전 대통령은 굴복했다.

1987년 6월29일 당시 민주정의당(민정당) 대표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한 6·29민주화선언을 발표했다.

하지만 같은해 12월 16년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13대 대통령 선거에 민정당 소속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면서 6·10민주항쟁은 절반의 성공만 거둔 채 마침표를 찍었다.

한편 6·10민주항쟁은 20주년을 맞이하던 지난 2007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임기 말기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으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 동안 6·10민주항쟁 기념식에 단 한 번도 얼굴을 비치지 않았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6-10항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