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처럼 강력한 사회통제체제 하에서의 민주화 지원은 다양한 정보기술매체의 활용을 통해 그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고경민 교수(제주대) 교수는 24일 오전 서울 정동 사랑의회관에서 진행된 '북한의 외부정보 통제 현황과 우리의 대응'이라는 학술세미나(주최 (사)북한전략센터)에서 "민주화 지원과 정보기술 효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북한 민주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북한 내부 정보의 한국으로의 유입과 자유세계 정보의 북한으로의 유통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 교수는 최근 몇년 사이 한국의 콘텐츠를 북한으로 유입시켜 북한 내부에서도 한류가 확산되도록 하는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두 가지로, 대북 민간단체들의 단파 라디오 방송과 '스텔스 USB'라고 말했다.
고 교수는 하지만 이러한 정보유입에 대해 북한의 당국은 강력한 단속을 펼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북한의 정보당국이 한국에서 유입된 정보의 유통을 통제하기 위해 정보기술 엔지니어가 포함된 단속반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 교수는 이는 북한이 외부 정보의 유입을 상당히 두려워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외부 정보의 유입은 개혁과 개방 또는 교류와 협력에 버금갈 정도로 한국의 발전상과 생활상을 북한 주민들에게 알림으로써 자유세계에 대한 갈망과 함께 체제에 대한 불만을 누적시키고 있다"며 "북한 민주화를 위한 잠재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미나는 고경민 교수, 김흥광 대표(NK 지식인연대) 등이 발제를 맡았으며, 이후 지정 및 종합토론이 있었다.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