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미세먼지 지표'가 178개국 중 꼴찌에 가까운 171위를 차지했다.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는 26일 이슈페이퍼 '현안과 정책' 을 통해 우리나라는 환경성과지수 종합 순위에서 전체 178개국 중 43위를 차지했지만 미세먼지 지표는 171위에 머무르며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2월24일 서울의 초미세먼지는 이날 정오부터 농도가 '매우 나쁨'(201~300㎛/㎥) 수준으로 올라 75시간 동안 계속됐다.
미세먼지는 기도를 자극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며 피부 질환과 인구 질환을 유발한다. 초미세먼지는 기도에서 걸러지지지 않고 대부분 폐까지 침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 질병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2011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르면 미세먼지 발생원은 제조업 연소가 68.2%로 가장 많았고 배와 항공기 같은 비(非)도로오염원(10.6%), 도로오염원(9.9%), 생산공정(5.6%), 에너지산업연소(3.5%), 비산업연소(1.7%)가 그 뒤를 이었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제조업연소가 절반 이상인 55.9%였고 비도로오염원(15.6%), 도로오염원(14.7%), 생산공정(7.2%), 에너지산업연소(4.3%) 순서로 많았다.
환경부도 지난해 10월 "산업화·도시화로 공장과 자동차가 많은 지역에서 미세먼지를 많이 유발한다"고 발표했다.
김정수 환경안전건강연구소장은 이슈페이퍼에 중국발 미세먼지보다 국내에서 발생한 먼지가 일상생활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이는 환경부가 전국 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측정한 것에 따른 결과다.
김 소장은 "한중일 장거리 이동성대기오염조약(가칭)을 체결해 미세먼지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줄이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미세먼지 이동을 감시하는 실질적인 협력 체계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초보 수준에 머물러 있는 미세먼지 예보·경보 시스템을 개선하고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긴급행동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며 "혼잡통행료 제도를 확대하는 등 미세먼지 배출을 사전에 막는 법·제도 정비도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