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전문가들이 우리 경제에 있어 미국과 중국을 최대 변수로 꼽았다. 또한 가계부채도 무시하지 말아야 할 것을 권고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2월,. 77개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를 한 결과를 발표했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면서 실물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조사 결과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77%)와 중국의 경기 둔화(72%)가 크게 지목됐다.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는 1년 내의 단기 리스크에 한국경제에 미치는 가장 파급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유동성 축소가 미칠 영향을 가늠하게 했다. 중국 경기 변수 또한 3년내 발생하는 중기리스크로 확률은 낮지만 영향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국내 변수인 가계부채(70%)가 꼽혔다. 신흥국 또한 주요 변수 중 하나로 지목됐다. 조사 대상자 중 57%가 '신흥국 금융불안' 지목하면서 1년 이내 발생할 수 있는 단기리스크지만 영향력은 중간으로 평가했다.
1년 이내에 한국에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51%로, 작년 하반기 조사 때(47%)보다 늘고 '높다'는 18%에서 16%로 줄었다.
최병오 한은 조기경보팀 과장은 "작년 하반기 조사 때는 중국과 신흥국의 성장둔화를 뭉뚱그려 응답(중국 등 신흥국 성장둔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번에는 중국과 신흥국을 별도의 위험 요소로 지목하는 경향이 뚜렷했다"며 "전반적으로 해외 부문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테이퍼링이 한국 경제의 최대 변수로 지목되면서, 우리 가계부채와 신흥국에 대한 우리의 대비가 요구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021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7조5000억원(6.0%) 늘었다. 2004년 말과(494억2000만원) 비교하면 9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한 수준이다. 게다가 미국의 금리인상 시점도 내년 여름으로 예측되있고, 이주열 한은 총재후보자도 미국 금리인상에 대비한 금리 인상을 시사한바 있어, 금리로 인한 이자율 상승이 가계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고, 대규모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수출의 51%를 차지하고 있는 신흥국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최근에 나타나는 정정불안과 외국 자본 이탈, 경제 기초체력 약화로 가고있기 때문이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25일 브라질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저 투자등급인 'BBB-'로 한 단계 강등한 것을 시작으로 터키, 러시아, 아르헨티나에서 자본유출과 자국통화 급락이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