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로봇들이 전통 부채춤을 추고 종묘제례악을 연주한다. 군무를 하고 때로는 난타를 연주하기도 한다.

테크놀로지와 문화의 만남이다. 로봇들의 어설픈 동작들이 신기해 보이면서 인간적인 감흥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하지만 그 어설픈 동작을 위해서는 정말 최첨단이라고 할 만한 기술이 필요하다.

부채춤이나 종묘제례악의 동작들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 동작이 실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로봇 기술까지.... 무엇 하나라도 빠진다면 로봇의 쇼는 수포로 돌아간다. 동작을 연구하는 작업에는 역사나 음악과 같은 인문학적인 배경이 있다. 로봇을 작동시키는 것은 테크놀로지와 같은 이공학적인 배경을 지닌다.

요즘 이렇게 이 둘의 거리를 좁히다 못해 같이 무엇인가 창조해 내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예술과 테크놀로지 융합의 시대다.

전병삼은 로봇들의 부채춤과 종묘제례악 연주를 연출한다. 융합의 한 가운데 서 있는 자신의 상상력이 바로 자기가 추구하고자 하는 작품 자체라고 말한다.

기존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위해 제작된 로봇기술을 활용한 로봇 부채춤, 로봇 난타, 로봇 태권도 등 로봇과 문화 콘텐츠를 결합한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접목한 '디지로그'라는 개념이 어울릴 정도로 고도의 디지털화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된 작품이지만, 보이는 것은 오히려 아날로그의 감성으로 충만하다.

이호진은 공간을 활용해 자신의 작품을 표현한다. 높은 빌딩과 아파트 공사 현장을 둘러싼 안전 울타리를 캔버스로 덮는다. 삭막한 공사장 못지않게 회색 빛깔의 철재 울타리가 거리의 환경을 미화하는 역할을 한 것이다. '도시 캔버스'다. 도시 캔버스는 빌딩 공사 측의 의지를 반영하는 메시지라든지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문화 게시판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이제는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한 공간이 된다.

다소 어려울 것 같은 색채 추상회화를 커다란 공사장 울타리에 그리면서 색이 주는 자연스러움과 따뜻함에 장식적인 느낌까지 살린다. 그의 추상회화는 넓은 울타리와 대중의 공간이라고 하는 특성과 융합하면서 단순히 어렵게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색 자체가 주는 편안한 느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벽화는 정보전달이나 벽화를 의뢰하는 기관이나 업체들의 홍보성 이벤트의 결과물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일종의 장식적 효과가 농후한 작업이다. 이호진은 이러한 벽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과감히 없앴다. 그의 벽화는 회화 공간의 무한한 확장을 기반으로 한다.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문화 기획자로 활동하는 전병삼과 공공의 공간에서 회화의 공간 확장 작업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이호진이 4월3일까지 작품을 선보인다. 장소는 종로구 통의동 아트사이드 갤러리다. '융합! 미술과 테크놀로지를 만나다'란 제목으로 뉴 테크놀로지의 결합과 회화의 새로운 개념적 해석을 통해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했다.

갤러리 측은 "이번 전시에서는 고도로 발전된 과학기술을 미술과 융합하고 반대로 순수한 미술의 조형언어를 전혀 다른 장소로 이동해 그 가능성의 공간을 확장하고 있는 또 다른 의미의 융합이 공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02-725-102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다이알로그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