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살률이 20년간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잇따르는 생활고 비관과 관련된 경제적 문제로 인한 자살은 5건 중 1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생활수급자 제도 등을 개선하여 부실한 사회안전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2012년 인구 10만명당 고의적 자해 사망자(자살)는 28.1명이었다. 20년 전인 1992년 8.3명의 3배가 넘는다. 자살율의 추이를 보면 92년 8.3명에서 환난인 98년 18.4명으로 급격이 늘었다. 그리고 2011년 31.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2년에는 28.1명으로 소폭 하락했다.
이 수치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과 비교하면 자살 증가와 자살율은 최고 수준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00년 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101.8% 증가했다고 밝힌바 있다. OECD 평균인구로 계산된 한국의 자살률은 29.1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2.5명)의 2.3배에 달했다.
자살의 원인을 보면 경제적 이유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통계청이 한 사회조사에 따르면 2012년 15세 이상 조사 대상자 중1년 사이에 9.1%가 심각한 수준의 자살 충동을 느꼈다고 답변했는데 이들 중 39.5%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을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 자살에서도 경제문제는 3위를 차지했다. 경찰이 같은 해 자살 사망자의 유서와 주변 진술 등을 토대로 분석한 조사에서도 자살 1만3천940건 중 정신과적 문제 3천861건(27.7%), 육체적 질병문제 2천887건(20.7%), 경제문제 2천618건(18.8%)로 5명 중 한명이 경제문제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자살률, 20년간 3배 늘었다.
5건 중 1건은 경제문제로. 정신적 문제가 제일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