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7년 만에 남북이 고위급 접촉을 통해 이상가족 상봉, 상대방 비방중지 등에 대해 합의하자 6.15언론본부가 환영 성명을 내고 남북 언론교류의 재개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기자협회(회장 박종률)와 전국언론노조(위원장 강성남), PD연합회(회장 홍진표), 한국인터넷기자협회(회장 김철관)로 구성된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언론본부(6.15언론본부·상임대표 정일용 외)는 18일 오후 성명을 통해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 실천 위한 언론 교류 재개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고위급 접촉에서 남북은 ▲이산가족 상봉 진행 ▲상대방 비방 중상을 중지 ▲상호 관심사 계속 협의 ▲남북관계 발전에 적극 노력하기 위해 상호 편리한 날짜 고위급 접촉 등을 담은 합의문을 발표한 바 있다.
6·15언론본부는 "남북 언론인들은 6·15공동선언 이후 2005년부터 본격적인 교류를 시작해 2006년 남북언론인대회, 2007년 평양 남북언론인모임, 2008년 금강산 남북언론대표자 회의 등을 개최해 6.15공동선언 실천, 외세 간섭과 전쟁위협 배격, 민족분열적 보도 배격과 공정보도, 공동의 협력 사업 지속 등을 합의해 실천하다가 5.24 조치 이후 중단됐다"며 "남북 언론인들은 이번에 남북 당국이 대화의 물꼬를 틀기로 합의한 '상대방에 대한 비방중상 중단'이 효율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할 역사적 책무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6·15언론본부는 "돌이켜 보면 2000년 6·15 선언이후인 그 해 8월 남북 당국이 주도한 언론 교류협력을 통해 남북 언론인들은 사상 처음으로 남북 언론교류협력을 다짐하는 공식문서인 '남북언론사들의 합의문'을 채택했다"며 "남북언론기관들의 공동합의문은 민족단합과 통일달성을 위한 언론활동 전개, 상호 비방중상 중지, 접촉·왕래·교류를 통한 상호 이해와 신뢰 증진, 남측의 남북언론교류협력위원회과 북측의 조선기자동맹 중앙위원회로 접촉창구 설정, 북측 언론사 대표단 서울방문 초청 등 5개항을 담았었다"고 밝혔다.
특히, 6·15언론본부는 "남북 당국이 모처럼 확보한 대화의 장은 민간 분야의 광범위한 교류협력으로 확대돼야 하는 것은 양안의 경우에서도 확인된다"며 "남북 당국은 언론 분야의 교류 협력이 적극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남북 간의 불신과 대립의 장벽을 허무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관련 조치를 신속히 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성명 전문.
<성명>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 실천 위한 언론 교류 재개가 시급하다
남북이 7년 만에 열린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교류 협력의 물꼬를 틀 수 있는 합의를 이룬 것은 민족 재통합을 위한 계기를 창출한 것으로 큰 박수를 보낸다.
남북은 지난 14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고위급 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기존 합의대로 2월 20∼25일 진행키로 하고 ▲상대방에 대한 비방중상을 하지 않기로 했으며 ▲상호 관심사에 대한 계속 협의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 위해 상호 편리한 날짜에 고위급 접촉을 갖기로 전격 합의했다.
북측은 이번 접촉에서 한미 합동군사연습 기간에 이산가족 상봉을 절대로 할 수 없다던 완강한 입장에서 물러나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한 적극성을 보이면서 남측의 요구에 통 크게 양보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남북 관계가 좀 더 진전되기 위해서 남측도 북측에 대해 양보와 절충의 자세를 보여야 한다. 남측은 북측에 대해 '진정성'을 요구하면서 대화조차 거부하던 입장을 이제는 접어야 한다. 그리고 합리적인 자세로 남북 사이에 가로놓여 있는 문제들을 살펴 해결책을 머리를 맞대고 모색해야 한다.
남측은 북측의 제안을 한마디로 거부하거나 외면하지 말고 대화하고 실천 과정을 통해 검증을 하겠다는 자세로 나와야 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인 특성을 감안해 남북이 풀어야 할 과제와, 관련국들과의 공조를 통해 풀어야 할 과제 등을 가려내서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대화의 틀이 갖춰져야 한다.
남북 당국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7.4공동선언과 6.15공동선언, 10.4선언으로 확보된 교류 협력의 광장으로 시급히 복귀해야 할 역사적 책무를 열과 성의를 다 해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국 간의 대화만으로 충분치 않고 광범위한 민간 교류가 병행되어야 한다.
남북의 이번 합의 사항 중에 상대방에 대한 비방 중상을 하지 않기로 한 것을 원만히 실천하기 위해서는 당국간 대화, 협의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도 지적코자 한다. 남북은 언론의 정치, 사회적 위상이 서로 차이가 있어서 비방 중상 중단을 위해서는 남북 언론 당사자들의 대화가 매우 중요하다.
남북 언론인들은 6·15공동선언 이후 2005년부터 본격적인 교류를 시작해 2006년 남북언론인대회, 2007년 평양 남북언론인모임, 2008년 금강산 남북언론대표자 회의 등을 개최해 △6.15공동선언 실천 △외세 간섭과 전쟁위협 배격 △민족분열적 보도 배격, 공정보도 △공동의 협력 사업 지속 등을 합의해 실천하다가 5.24 조치 이후 중단되었다.
남북 언론인들은 이번에 남북 당국이 대화의 물꼬를 틀기로 합의한 '상대방에 대한 비방중상 중단'이 효율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할 역사적 책무가 있다.
돌이켜 보면 2000년 6.15 선언이후인 그 해 8월 남북 당국이 주도한 언론 교류협력을 통해 남북 언론인들은 사상 처음으로 남북 언론교류협력을 다짐하는 공식문서인 '남북언론사들의 합의문'을 채택했다.
'남북언론기관들의 공동합의문'은 ① 민족단합과 통일달성을 위한 언론활동 전개 ② 상호 비방중상 중지 ③ 접촉·왕래·교류를 통한 상호 이해와 신뢰 증진 ④ 남측의 남북언론교류협력위원회과 북측의 조선기자동맹 중앙위원회로 접촉창구 설정 ⑤ 북측 언론사 대표단 서울방문 초청 등 5개항을 담았었다.
위의 합의문 가운데 ②항의 '상호 비방중상 중지'가 포함된 것은 남북 당국간의 '상호 비방중상 중지' 합의 실천에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물이었다. 남북 당국은 이런 점을 고려해서 수년째 중단 상태인 언론 교류 협력을 재개하는데 발 벗고 나서야 할 것이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두 개의 분단 지역 중 하나인 중국과 대만은 평화통일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지구촌이 한반도를 주시하고 있다.
양안은 분단된 1949년 이후 65년 만에 처음으로 열린 최근의 당국간 회담을 통해 양안의 대표기구 성격인 사무소 설치와 지역 경제공동체 공동 참여, 상시 대화채널 구축, 언론 매체 상호 상주 허용 등을 논의했다.
양안의 평화통일 노력의 과정에서 역시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된 것이다.
남북 당국이 모처럼 확보한 대화의 장은 민간 분야의 광범위한 교류협력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것은 양안의 경우에서도 확인된다. 남북은 양안보다 훨씬 진전된 통일의 이정표에 합의했었던 것을 지구촌은 기억하고 있다. 남북 당국은 언론 분야의 교류 협력이 적극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남북 간의 불신과 대립의 장벽을 허무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관련 조치를 신속히 취해야 할 것이다.
2014년 2월 18일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언론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