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절반가량이 결혼을 전제하지 않고도 남·여가 동거하는데 큰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구·가족의 변동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8월 전국 20~65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가족 가치관 인식 및 태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은 동거 반대가 53.6%, 동거 찬성이 46.1%였다.
그러나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에서 동거 찬성률이 각각 53.1%, 59.2%로 절반이 넘었다.
반대가 높은 연령층은 50대와 60대로 각각 63.1%, 69.1%로 나이가 많을 수록 동거에 부정적이었다.
또 성별로는 남성이 50.6%, 여성이 41.5%로 남성이 혼전 동거에 더 개방적이었다.
결혼을 인생에서 '꼭 해야하는' 필수 과정으로 여기는 사람도 4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했다.
결혼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괜찮다"며 '선택'의 문제로 정의한 사람이 35.5%로 가장 많았다.
이에비해 "반드시 해야한다"는 의견은 25.6%, 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34.6%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어도 이혼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조사 대상자의 41.4%가 가능하다, 57.6%가 곤란하다는 의견이었으며, 가능하다는 답은 여성(47.6%)이 남성(35.3%)보다 높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를 둔 상태로 이혼하는데 부정적 견해가 많았다. 60대에서는 반대 비율이 73.5%에 이르는데 비해 20대에서는 53.2%로 절반 수준이었다.
'부모가 자녀를 언제까지 책임져야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37.9%가 '대학교 졸업까지'를 한계로 규정했다.
이어 '결혼할 때까지(19.3%)', '고등학교 졸업까지(17.6%)', '취업할 때까지(12.0%)'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노부모에 대한 성인 자녀의 책임 수준은 '노부모가 원할 경우(31.9%)', '건강하지 않은 경우(27.0%)', '경제적 능력이 없을 때(21.9%)', '노부모 능력과 상관없이 무엇이든(16.8%)' 등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부부보다 부모-자녀 관계가 중요하다'는 견해에는 10명 중 7명(67.7%)이 동의하지 않았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조사결과 우리 사회에서 가족 규모 축소, 단순한 세대 구성, 1인 가구 증가, 가족 돌봄 기능 약화 등의 변화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