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 가구 대부분이 가계수입의 '이중추락'과 '양극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11일 '2012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은퇴자 가구는 60대 전후와 70대 전후 두 차례에 걸쳐 가계수입이 크게 축소되는 이중추락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60대 가구의 평균수입(282만원)은 50대 가구(441만원)에 비해 36% 하락했다. 또한 70대 이상의 수입(154만원)은 60대에 비해 다시 절반에 가까운 45%나 감소했다.
중산층 가구의 가계수입은 더욱 가파르게 축소돼 50대 가구 384만원 → 60대 가구 215만원 → 70대 가구 95만원으로 각각 44%, 56% 감소했다.
은퇴자 가구는 가계수입의 양극화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의 수입을 하위 20%의 수입으로 나눈 5분위 계수를 살펴보면, 은퇴자 가구 상위 20%의 평균수입은 하위 20%의 14.6배로 집계됐다. 이는 50대 가구(7.3배)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 밖에도 은퇴자 가구 3곳 중 1곳은 최저생계비(94만원, 2인 기준)에도 못 미치는 수입을 거두고 있고, 절반 이상은 부부의 생활에 필요한 적정소득(184만원) 수준을 밑돌았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이같은 이중추락과 양극화 원인으로 '일자리의 질'과 '일자리의 유무'를 지목했다.
우선 가계수입 이중추락은 60대 가구주의 일자리의 질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이다. 60대 가구주의 취업률은 63%로, 50대(89%)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으며, 고용형태도 임시·일용직 비중이 컸다.
연령대가 70대를 넘어서면 취업률은 29%로 급감하고, 그 중 절반(15%)은 임시·일용직에 머물러 은퇴자 가계수입의 2차 추락으로 이어졌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자 가계수입의 완만한 조정을 유도하는 방안으로 ▲양질의 일자리 제공 ▲자산 유동화 활성화 ▲연금화 전략 수립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