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이상은 자신의 가구 소득수준이 중간층에 못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1일 발표한 '미래 보건복지 방향 설정과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50.5%가 자기 가구의 소득 수준에 대해 "중간 미만"이라고 답했다. 중간이라고 답한 사람은 36.9%였고 상위층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10.5%였다. 이번 조사는 작년 12월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사는 성인 남녀 10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또한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가장 큰 걱정거리(복수응답)는 '노후 준비(41.1%)'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자녀 교육(31.9%), 일자리·퇴직·폐업(27.3%), 소득·생활비(24.9%), 건강·의료(23.6%), 먹을거리·범죄 등 사회 안전(22.6%), 가계 부채(16.3%)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일자리·퇴직·폐업(50.2%)과 사회 안전(39%)에 대한 걱정이 가장 많은 반면, 60대 이상은 노후 준비(57.6%)와 건강·의료문제(43.9%)를 주로 염려했다. 30·40대는 자녀 교육 문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현 정부의 보건복지정책에 대해선 만족스럽지 않다는 의견(28.3%)이 만족스럽다는 의견(18.5%)보다 많았다. '보통'이라고 답한 사람은 44.9%였다.
새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보건복지정책(복수응답)으로는 취업과 일자리 지원(48.4%)이 꼽혔다.
이어 의료비 부담 경감(30.1%), 저소득층 소득 지원(26.3%), 노인의 삶의 질 향상(24.8%), 서민 주거 지원(24.4%), 보육 지원(20.6%),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19.9%) 등의 순이었다.
세금을 좀 더 내더라도 복지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데는 40%가 지지 입장을 밝혔다. 복지 수준이 낮아져도 세금을 더 내려야 한다는 의견은 26%였다. 25.4%는 현재의 세금과 복지 수준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노인복지정책(복수응답)으로는 '노인에 적합한 일자리 확대(50.7%)'가 꼽혔다. 이어 치매노인 등 장기요양 보험 적용 대상자 확대(43.7%), 기초노령연금 등 소득보장 강화(36.6%), 노인전문병원 등 의료서비스 강화(35.1%)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초노령연금을 모든 노인에게 지급할 경우 어느 정도를 적정액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35.2%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내용과 같은 액수인 월 20만원이라고 답했다. 월 30만원 이상 줘야 한다는 의견도 24.1%였다.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만 0~5세 자녀를 둔 모든 가정에 보육료를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은 56.1%로 반대 의견(41.5%)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