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소방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2020년 5년간 발생한 전기 화재는 4만7492건이다. 전체 화재의 약 23%를 차지한다.
5년간 전기 화재로 1900명(사망 246명, 부상 1654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재산 피해액도 6680억원에 달한다.
원인별로는 전기설비의 전기나 열의 전달을 막아주는 절연재료가 노후 또는 성능 저하되면서 불이 난 경우가 24.3%(5120건)로 가장 많았다.
전기설비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여 누진·발화하는 트래킹 11.1%(5.264건), 접촉 불량 10.8%(5120건), 과부하·과전류 9.3%(4401건), 압착 손상 5.9%(2820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화재 발생 장소별로는 주거시설이 27.8%(1만3205건)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산업시설(17.3%·8197건), 생활서비스시설(14.2%·6761건), 자동차(12.2%·5794건), 판매·업무시설(8.9%·4227건) 순이었다.
특히 주거시설 전기 화재로 사망한 인원은 165명으로 전체의 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사태로 주거시설에 머무는 시간이 더 많아진 양상이다. 지난해 가정용 분야 판매 전력량은 전년 대비 5.1%(3619Gwh) 증가한 7만4074Gwh였다. 제조업 분야 판매 전력량이 25만104Gwh로 전년 대비 4.2%(1만868Gwh)가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가정 내에서 전기 화재를 예방하려면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은 삼가야 한다. 낡거나 손상된 전선이 없는지는 주기적으로 확인해 교체해야 한다.
정격용량을 초과하는 전기를 사용하면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 규격에 맞는 퓨즈와 차단기를 사용해야 한다.
남화영 소방청 소방정책국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원격교육 등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져 전력 사용 증가에 의한 전기 화재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면서 "냉·난방용품의 장기간 사용을 자제하고 외출 시 플러그를 뽑는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잘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