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6개국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한 정부의 비용 등
아시아·태평양 6개국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한 정부의 비용 등 ©한국얀센
우리나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울증 환자 대부분이 별다른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울증 환자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각하지만 우리 정부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1인당 지원하는 비용은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 제약사 존슨앤드존슨의 제약 부문 회사 얀센은 17일 이런 내용의 '아시아 우울증 스펙트럼 분석 백서'를 공개했다.

백서에는 호주,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대만 등 아시아·태평양 6개국의 우울증 현황과 국가별 정책 상황 등이 담겼다. 존슨앤드존슨의 후원으로 싱가포르의 시장조사기관 KPMG가 작성했다.

백서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울증 환자의 90% 이상은 적절한 도움을 구하지 않고 있었다.

이런 경향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백서는 보건복지부 통계를 인용해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은 평생에 한차례 이상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겪을 정도로 취약하지만 실제 병원을 찾아 도움을 구하는 비율은 10%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특히 높은 자살률에 비해 정부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집행하는 예산이 다른 나라들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는 2018년 기준 26.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다.

그러나 정부가 연간 1인당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에 지출하는 금액은 71달러로, 6개국 중 아래에서 두 번째다. 최하위는 정부의 1인당 지출이 24달러에 불과한 중국이었다. 가장 큰 비용을 지불하는 국가는 호주(400달러)였다.

KPMG의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부의 크리스 하데스티 이사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집행되는 예산 비중과 규모가 작은 편"이라며 "한국은 자살률이 높아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높으므로 좀 더 섬세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도 정부가 우울증, 특히 약물이 잘 듣지 않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들을 위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문두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이사장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은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과 함께 환자가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다방면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신질환자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 사회가 겪는 어려움이 크므로 국가가 나서서 치료에 도움을 줄 방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