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OECD 37개국의 고령화 속도와 빈곤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연평균 4.4%씩 증가했다. 이는 OECD 평균(2.6%)의 1.7배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른 속도다.
급속한 고령화로 현재 OECD 29위 수준인 고령인구 비율(15.7%)은 20년 후인 2041년에는 33.4%로 치솟을 전망이다. 3명 중 1명은 노인이라는 얘기다.
또 2048년엔 37.4%까지 오르며 OECD 국가 중 한국이 가장 늙은 나라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경연은 전망했다.
빠른 고령화 속도에도 한국의 노인 빈곤율 수준은 이미 OECD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한국과 G5의 고령화 대응책을 비교·분석해 고령화와 노인 빈곤 대책으로 사적연금 지원 강화와 노동시장 유연화, 고령층 민간일자리 수요 확대 등을 제안했다.
2018년 기준 한국의 공적·사적 연금 소득대체율은 43.4%로 은퇴 전 평균 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반면 G5 국가들은 평균 69.6%에 달했다.
G5 국가들은 사적연금 납입금 대비 세제 지원율도 2018년 기준 평균 29.0%였다. 이중 미국은 41.0%나 됐다.
또 생산가능인구 사적연금 가입률은 평균 54.3%로 2명 중 1명 이상이 사적연금에 가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한국은 사적연금 세제 지원율과 사적연금 가입률이 각각 20.0%, 16.9%에 그쳤다.
또 G5 국가들이 연금수급 개시 연령을 현재 65~67세 사이에서 67~75세까지 높이려고 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제 개시 연령을 62세에서 65세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한경연은 한국은 파견·기간제 규제와 높은 해고 비용 등으로 노동시장이 경직적이라 고령자 취업이 어렵다며 이런 시장 구조가 노인 빈곤율을 더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고령화 속도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빨라 연금기능 강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한국도 G5 국가들처럼 호봉급보다는 직무성과급으로 전환하는 등 유연한 노동시장 관리책으로 고령자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