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제주 4.3사건 어떻게 인식해야 하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학술발표회서 고찰
발표회가 진행되고 있다. ©노형구 기자

한국기독교역사학회가 1일 오후 서울 성산동에 있는 학회 세미나실에서 제384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신약(장신대 석사) 연구원이 ‘한국 개신교의 제주 4.3 인식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그는 “제주 4.3으로 인한 희생자는 2만5천~3만 명 이상으로 보고 있다. 당시 제주의 인구가 27만 명 정도였음을 볼 때, 제주 전체 인구의 10% 이상이 사망한 것”이라며 “이 만큼 제주 4.3은 제주의 모든 땅과 사람에게 영향을 끼쳤다”고 전했다.

이어 “제주 4.3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1947년도 3.1시위 이후 남로당과 제주도민이 당한 억압과 수탈, 미군정의 무리한 정책, 전염병과 가난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해 불만이 폭주했다는 것”이라며 “다른 하나는 좌익 세력(남로당)의 무장폭동이다. 제주인민의 반란군 350여 명이 총과 철창과 죽창으로 제주 12개 경찰 지서에 대한 기습 공격을 했다”고 밝혔다.

또 일반 역사학계 연구 흐름에 대해 “1970년대는 4.3사건을 주로 반공주의 관점에서만 다뤘다. 이 시기엔 주로 군·경 기록에만 의존했고 어느 책이든 군·경의 대량학살 부분은 기술되지 않았다”며 “1987년 민주화 이후엔 제주인의 증언을 모아 민간 차원의 진상규명이 시작됐다. 특히 2003년에는 4.3 사건에 대한 상이한 입장을 가진 양측 입장을 수렴해 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됐다”고 전했다.

이를 발판 삼아 2014년 4.3 사건을 바라보는 양 극단에 있던 제주 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도재향경우회의 화해 선언도 있었다고 김 연구원은 강조했다.

그는 “개신교는 4.3 사건 후 70년이 흐른 지금도 소극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사료를 발굴하지도 않고 있다”며 “개신교는 4.3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는 당시 교단 총회 회록을 봐야한다. 1951년까지 제주도에 자리한 유일한 교단이었던 예장통합 총회 기록들을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예장 통합 32~34회 총회(1946~48년), 35~40회 총회(1949~55년)는 제주 4.3 사건 발발 원인을 정확히 명시하지 않았다. 초기 희생자 대부분을 반도(叛徒)나 공비로 지칭하고, 이를 진압하는 중앙정부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고 했다.

김신약 장신대 석사 연구원 ©노형구 기자

김 연구원은 한국 개신교 통사와 단행본·논문 등의 기술 성향도 말했다. 우선 “총신대 박용규 교수가 집필한 ‘한국기독교회사’는 제주 4.3을 남한 공산주의 세력이 등장하고 영향력이 확대되는 사건으로 정의했다. 나아가 김일성의 적화통일 야심을 더욱 부채질했다고도 평가했다”며 “대다수 개신교 통사와 단행본 연구 등도 반공주의와 좌우 이념대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주도 개교회사는 다양한 방면으로 4.3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노력했다. 진상조사보고서를 비롯해 2000년대 중반 연구들이 많이 참작됐다. 즉 무작정 좌익이 일으키던 사건에서 해방 직후 제주의 상황을 고려했고, 남로당의 일방적 주동보다 3.1사건으로 인한 제주도민의 분노가 가미된 점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제시한 제주도 개교회사는 ‘제주성내교회100년사(2008년), 모슬포교회100년사(2009년), 서귀포교회80년사(2010년), 제주성안교회100년사(2010) 등이다.

그는 “현대사에서 4.3을 인식하고 연구하는 전환점은 바로 개개인의 다양한 증언을 채집한 것이다. 이로써 집단 기억을 이뤄내 좌·우 민간단체가 토론해 공론의 장이 형성됐다”며 “이는 서로의 입장이 다를지라도 화해와 상생을 이루고자하는 긍정적 신호탄”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개신교의 4.3인식 연구는 제한된 자료와 이념 속에서 연구를 진행해서는 안 된다”며 “다양한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 첫째다. 그리고 개개인 또는 각 개 교회들의 증언을 모아 집단 기억을 형성해야한다. 기억이 비록 주관적일지라도 그 기억의 총화는 책임규명과 더불어 화해와 평화로 나아가는 디딤돌”이라고 강조했다.

#제주4.3 #조남수목사 #김신약연구원 #남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