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내의 ‘반진화론’과 ‘창조과학’에 대해

목회·신학
신학
노형구 기자
hgroh@cdaily.co.kr
  •   
과신대·기사연 공동 세미나
©과학과 신학의 대화

과신대(과학과 신학의 대화)와 기사연(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개신교 근본주의가 반진화론과 창조과학에 빠진 이유’라는 주제로 28일 저녁 7시 새물결아카데미 대강의실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첫 번째로 성공회대 신익상 교수가 ‘한국 개신교인의 근본주의 신앙관에 관한 인식 조사’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그는 “개신교 근본주의는 기독교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나왔다. 공동체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나와 상대방의 다름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개신교 근본주의가) 내부 정체성을 공고히 해왔다”고 했다.

이어 “진화론과 공산주의는 기독교 근본주의가 태동할 때부터 근본주의의 배격 대상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개신교인들은 진화론에 상당히 관대하다”며 “진화론 반대를 두고 ‘개신교인이 보는 개신교 입장’은 63.2%, ‘개신교인 본인 입장’은 45.9%, ‘비 개신교인이 보는 개신교 입장’은 39.9%, ‘비개신교인 본인 입장’은 12.5%”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진화론을 반대하는 비율이 ‘개신교인이 보는 개신교 입장’ 항목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50% 대를 밑돈다. 진화론이 다른 지표에 비해 현저하게 반대 비율이 떨어진다는 의미”라며 “반대로 공산주의 반대는 비개신교, 개신교인들 모두가 반대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다. 개신교인 입장은 71.2%, 비개신교인 입장은 54.3%”라고 밝혔다.

성공회대 신익상 교수 ©과학과 신학의 대화

특히 “개신교인들은 동성애 반대가 62.3%, 이슬람 반대가 68.4%다. 진화론을 반대하는 개신교인들(45.9%)보다 높은 수치다. 이는 개신교인들이 진화론에 대해선 관대해졌지만 다른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강화됐다는 의미”라며 “가령 이슬람, 동성애 등이 그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외부에 적을 설정해 기독교 근본주의는 내부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 ‘너는 내가 아니’라고 말해서 자기 위치를 확인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은 개신교인들, 특히 젊은 사람들이 진화론을 잘 모른다. 진화론은 원숭이가 인간이 되는 얘기가 아니다. 진화론을 진보적 성향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며 “진화론을 잘 모르면서 무작정 반대를 외친다. 어떤 주제를 깊이 고민하지 않고, 찬성과 반대를 단정 짓는 게 문제”라고 강조했다.

때문에 “진화론을 어떻게 수용할 지에 대한 근본 논의가 필요하다. 우리의 진짜 적은 무지”라며 “우리가 걱정해야 할 것은 개신교 근본주의가 아니다. 바로 개신교가 알맹이 없는 껍데기로 전락하는 것”이라고 했다.

서교인문연구소 김현준 연구원 ©과학과 신학의 대화

두 번째로 서교인문사회연구실 김현준 연구원이 ‘한국 개신교는 왜, 어떻게 창조과학에 빠졌는가?’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그는 “창조과학의 핵심은 신앙적 동기다. 문제는 과학 담론을 긍정이 아닌 부정적인 방향으로만 발전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창조과학은) 왜 진화론이 잘못됐는가에만 치중 한다”면서 “이런 변증적 성격을 과학 하는 행위라고 착각한다. 그리고 이게 신의 뜻을 잘 따르고, 신앙생활을 잘하고 있다는 생각을 개신교인들에게 심겨 줬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 동안 창조과학이 과학적 담론이라기보다, 창조과학을 잘하면 신앙적인 사람이라고 여겨지는 경향이 강했다. 한국복음주의 지성운동도 근본주의적 사고를 태동 시킨 측면이 없지 않다”며 “지성운동이 창조과학을 영적 전쟁의 문제로 환원시킨 점도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창조과학은) 결코 물러설 수 없는 문제가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또 “(창조과학은) 앎의 욕구를 성급히 해소하려는 경향이 짙다. 과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보다 성경이 과학의 텍스트인양 말하고 답을 단순화 한다”며 “서구의 과학정신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선행됐어야 했다. 이를 빼고 신앙 안에서 과학을 논의한 게 창조과학이다. 결국 (창조과학은) 과학기술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충분한 해명을 제공하지 못했다. 단지 과학을 종교적 관심으로 치환시켜서 해석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창조과학은 과학을 신앙의 논리로 환원하려는 태도가 문제다. 과학의 한계를 곧 신에 대한 경외로 이어지게끔 한 것이 특징”이라며 “과학의 한계는 과학 내부에서 치열한 논의를 거쳐 극복돼야 하는 문제”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창조과학이 반지성주의적 태도를 견지한 건 미국식 실용주의 영향 때문이다. 전문가를 거치지 않고 지식을 취하는 태도다. 과학을 평등주의로 이끌었다는 일면 긍정 평가도 있다”면서 “그러나 과학을 깊이 있게 탐구하지 못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과신대 #기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