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 민주화 운동의 거두 故 박형규 목사 기리는 자리 개최

한국기독교회관서 17일 오후 5시 반부터 열려
(왼쪽부터) 이주열, 유홍준, 한승호, 야마다 사다오, 권호경, 권혁률이다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70-80년대 군부독재 시절에 문익환 목사와 함께 기독교 민주화의 양대 산맥인 박형규 목사를 추모하는 기념사업회가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열렸다. 본회 상임 공동대표인 김상근 의장이 1부 순서로 정기총회를 진행한 이후, 추모문집 ‘박형규와 함께 그 길을 걷다’ 의 출간행사도 이어졌다.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 출간행사에는 사단법인 기독교민주화운동 권호경 이사장, 일본 니시카타마치교회 야마다 사다오 교인, 前 문화재청장 겸 명지대 유홍준 석좌교수, 형제의집 2기모임 이주열회장,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한승호 공동대표가 대담으로 참석했다. 사회는 前 CBS 권혁률 기자가 맡았다.

사회자는 대담자들에게 ‘목사님에 대한 기억’을 물었다. 권호경 목사는 박형규 목사의 조언을 회상했다. 그는 “박 목사와 함께 판자촌에서 일하면서 교회의 자리는 결국 교회인 줄 알았는데, 박 목사는 나에게 ‘38선이 결국 교회의 자리’라고 말했던 기억이 내 머리 속에서 떠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이어 그는 “한반도의 정세가 비핵화 문제로 시끄럽지만, 휴전선의 한복판에서 남과 북의 사람들이 손잡고 만나는 중재 역할을 하는 게 우리 교회의 자리”라며, “목사님이 살아계셨다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니시카타마치교회 야마다 시다오 교인은 당시 서울제일교회를 담임했던 박형규 목사를 만나서 한국을 좋아하게 됐다고 고백했다. 그는 “서울제일교회 노상예배 때 박형규 목사님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답했다. 전두환 정권은 당시 서울제일교회 예배 방해로 박형규 목사는 중부경찰서 앞에서 1983년부터 6년간 노상예배를 주최했다. 59세부터 한국말을 공부하기 시작한 그는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를 알게 되면 일본이 어떤 나라인가를 점점 더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일본 내에서는 오키나와를 향한 차별감정이 있고, 정부는 그곳을 미군기지로 세우려고 한다”면서 “일본이 한국 식민사관을 청산하지 않고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기에, 결국 이런 차별과 배체의 역사를 되풀이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연유로 그는 “중국의 한 대학교에서 한국미술사학을 전공하기 위해 대학원까지 진학했다”고 전했다.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로 익히 알려진 前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박홍규 목사의 미소를 기억했다. 그는 “박홍규 목사의 미소는 백제금동불상과 비견 된다”며 “그는 항상 고난 속에서 미소를 잃지 않으신 분 이었다”고 회상했다. 아울러 그는 “목사님과 함께 영등포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했는데 한번은 나에게 ‘나는 기도를 시작하면 다른 건 안보이고 오직 마누라 밖에 안보여, 난 목사로서 문제가 많은 것 같아’”라며 박홍규 목사에 관한 재밌는 기억을 꺼냈다. 덧붙여 그는 “이런 모습이 전부다 어우러질 때라야 참 박형규 목사다”라고 추억했다.

아울러 그는 “보통 민주화 인사는 감옥에 가도 국가보안법 위반과 집시법 위반으로 나중에 두고두고 훈장으로 남길 수 있는데, 박 목사님의 너그러운 면모는 하필이면 횡령 배임죄로 감옥에 들어가신 점에 있다”며 “그럼에도 박 목사님은 ‘그래도 횡령 배임이 그나마 파렴치 중에서도 낫지 않나?’라며 웃어넘기는 박 목사님의 여유로운 모습을 떠 올린다”고 했다. 박형규 목사는 1975년에 선교자금 횡령 및 배임 조작사건으로 구속되지만, 다음해인 1976년 2월에 법원으로부터 무죄판결을 받고 풀려난다.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한승호 공동대표도 박형규 목사와 함께 했던 일화를 꺼냈다. 그는 “박형규 목사님을 통해 처음 기독교를 알게 되고 세례를 받았으며, 결혼할 때 주례도 해주셨고 아들에게 유아세례도 해주셨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목사님이 6번의 옥고를 치루는 동안 한 번도 옥고를 같이 치룬 적은 없지만, 그랬기에 나는 묵묵히 서울제일교회를 남아 자리를 지켰고 중부경찰서 노상예배 6년 동안 목사님 곁을 지켜드렸다”고 잠잠히 고백했다. 더불어 그는 “목사님이 은퇴하시고 장학회를 하실 때 목사님 곁에서 큰일은 못했지만 작은 일 맡아서 목사님 곁을 지키는 사람이 돼야 겠다”라며 “그런 생각으로 목사님 곁에서 작은 일을 묵묵히 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기념사업회 같이 참여하면서 목사님은 돌아가신 후에도 곁을 지켜드리는 역할을 맡겨 주셨다”라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마지막으로 형제의집 2기모임 이주열 회장은 목사님의 따뜻한 배려와 소탈한 면모를 기억했다. 그는 “저희 노동자들이나 야학생들에게 목사님이 먼저 우리가 긴장 하지 않도록 편하게 대해주셨고, 우리는 격의 없는 많은 대화를 나눴다”고 회상했다. 또한 그는 “당시 전두환 정권의 감시 때문에 노동야학 같은 행사를 개최할 장소도 마땅치 않았다”며 “그러나 서울제일교회 박형규 목사님은 위험을 무릎쓰고 흔쾌히 우리에게 교회 장소를 빌려주시고, 우리 노동자들과 함께 즐겁게 놀게 해주셔서 아름다운 형제의 밤을 보냈던 기억이 있다”고 전했다.

박형규 목사는 1923년생으로 59년에 일본 동경신학대학을 졸업하고 이후 미국 유니온신학교에서 수학한다. 1972년부터 그는 서울제일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해 92년까지 20년 동안 목회했다. 대표적 기독 민주화 인사로 박정희, 전두환 군부 시절 동안 총 6번의 옥고를 치렀다. 특히 박형규 목사는 1974년 대표적인 유신시대의 민주화운동 탄압사건인 민청학련사건의 주동자로 지목돼 징역 15년을 선고 받는다. 그는 10개월의 옥고를 치루고 곧 석방된다. 당시 이해찬 전 국무총리와,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유인태·장영달 전 국회의원 등도 이 사건에 연루됐다. 2009년 서울고등법원은 재심에서 8명 모두에게 무죄판결을 내린바 있다.

이후 박형규 목사는 1987년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6번의 옥고를 치렀다. 특히 전두환 정권의 예배방해로 인해 중부경찰서 앞에서 노상예배를 1983년부터 1990년까지 개최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초대이사장을 역임하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남북평화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그리고 박형규 목사는 2016년 향년 만 9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JTBC가 제작한 박형규 목사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박형규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