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의 토착화, 기복·무속적 신학 통로 되기도”

한국교회발전연구원 첫 발표회, ‘예배 갱신’
▲한국교회발전연구원의 첫 발표회가 예배의 갱신으로 주제로 18일 저녁 기독교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김진영 기자

한국교회 위기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출범한 ‘한국교회발전연구원’(원장 이성희 목사)이 18일 저녁 서울 종로 기독교회관에서 첫 발표회를 가졌다. 이날 주제는 ‘한국교회의 예배, 어떻게 갱신할 것인가’였다.

눈길을 끈 것은 ‘한국교회의 예배 진단’을 주제로 한 김경진 교수(장신대 예배설교학)의 발표였다. 그는 한국교회 예배들의 특징을 정리하면서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한국교회의 성장 배경에는 열정적인 한국교회의 예배 습관이 자리잡고 있다”며 “사람들은 한국교회의 매우 자랑스런 특징으로, 자주 모이고 열심히 모여 예배하는 전통을 첫째로 꼽아온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매일같이 모이고 수없이 모여 예배하는 사람들이 세상 사람들에게 조롱을 받게 된 현실, 그것도 기독교인들의 삶의 허물 때문에 세상 사람들의 걱정이 된 현실이 바로 오늘 한국교회 예배의 현실”이라며 “이러한 위기의 깊은 곳에 바로 우리가 지금까지 드려온 잘못된 예배가 자리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진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김진영 기자

김 교수는 한국교회 예배의 특징으로 ▲평신도들에게 예배의 주도권이 있고 ▲원산 및 평양 대부흥운동의 영향으로 인한 감정적 격앙과 성령의 체험을 강조하며 ▲교단 신학이 잘 드러나지 않는 에큐메니칼한 모습, 그리고 ▲새벽기도, 철야기도, 통성기도, 산상기도 등 토착적 기도의 형태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그는 “평신도의 예배 주도권은 한국교회의 독특한 특징으로서 한국교회의 성장에 매우 큰 공헌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동시에 이것은 예배신학의 부재라는 심각한 문제를 만들었다”며 “신학을 알지 못하는 평신도들이 예배를 인도함으로써 올바른 신관이나 신앙의 표현이 드러나지 못하고 예배 안에 인간적이고 이기적인 요소들이 들어갈 가능성들이 많아지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에큐메니칼한 예배의 형태가 교단을 초월해 드려지는 것에 대해서도 “한 교단 안에 서로 다른 예배의 신학이 존재함으로써 혼란을 주었다”며 “하나의 예배신학이 아닌 혼재한 예배신학 속에서 예배의 가치관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예배의 토착화와 관련해선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기도의 형태들은 한국교회의 특징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겠지만 동시에 기복적이고 무속적인 신학이 들어오는 통로의 역할을 한 것도 부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교수는 부흥회식 예배가 만연한 것에 대해 “한국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부흥운동은 그것이 미친 혁혁한 공로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교회에 드러난 문제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며 “부흥운동은 개인의 회심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회심의 강조는 순간적이고 즉흥적인 신앙의 변화를 강조하게 되면서 교회가 오랫동안 간직해 온 세례 성례전이 도리어 불필요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그는 “세례 성례전은 초대교회로부터 매우 중요한 예식이었으며 순간적인 결단을 넘어 매우 점진적이고 또한 삶의 변화를 통해 얻어지는 매우 중요한 결단이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교수와 함께 발표자로 나선 나형석 교수(협성대)도 예배에 있어 세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리를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시키는 세례는 감사와 찬양, 그리고 간구라는 교회 응답의 전제”라며 “세례를 (예배에서) 제외시키면 교회는 무엇에 대해 감사와 찬양을 돌려야 하는지, 무엇을 간구해야 하는지 그 응답의 초점과 방향을 상실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교회는 세례사건에 응답하기 위해 모인다. 따라서 세례는 예배의 본질, 성격 혹은 과제를 설명해 준다”며 “매주 세례는 없어도 예배라는 응답행위는 늘 세례를 전제한다. 세례는 예배의 존재이유를 설명해 준다”고 강조했다.

#한국교회발전연구원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