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황장애 환자가 25만 명에 육박하며 6년 전보다 7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24만7061명으로, 하루 평균 약 677명이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았다. 이는 2017년 환자 수(14만4943명) 대비 10만 명 이상 늘어난 수치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러운 극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경험하는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교감신경계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맥박 증가, 호흡곤란, 어지럼증, 식은땀과 같은 신체 증상이 동반된다. 발작은 보통 20~30분 이상 지속되지 않지만, 짧은 시간 안에 극심한 공포감을 느끼게 한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불안 민감도가 높은 사람이나 반복적인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발병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 환자는 발병 전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휴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공황장애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자연적으로 회복되기보다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라며, "70~90% 환자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잘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조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광장공포증이나 우울증이 동반되며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황장애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주로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항불안제를 사용하며, 약물 복용은 증상 호전 후에도 최소 6개월 이상 지속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허 교수는 "정신과 약물에 대한 편견 때문에 약물 복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며, "증상이 나타날 때만 신경안정제를 복용하는 습관은 약물 의존을 유발할 수 있으니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술과 약물을 함께 복용할 경우 진정 작용이 과도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약물치료와 함께 환자가 불안을 관리하고 공황발작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 역시 효과적이다. 이는 환자가 공황발작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대처 방법을 학습하게 한다.
공황장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필수적이다. 가벼운 산책, 스트레칭, 명상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된다. 허 교수는 "일상에서 부정적인 생각을 줄이고,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차분히 관찰하는 명상은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공황발작은 극심한 두려움을 유발하지만 실제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환자와 가족 모두 발작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을 줄이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점 증가하는 공황장애 환자 수는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 환경을 반영하는 지표로,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