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신대 오광석 교수 “존 웨슬리의 성직 이해” 주제 강연

목회·신학
신학
노형구 기자
hgroh@cdaily.co.kr
오는 30일 오후 4시 제3회 감신교수포럼서 발제
 ©감신대 제공

감리교신학대학교(총장 이후정 교수, 이하 감신대)는 오는 30일 오후 4시 감신대 채플에서 제3회 감신교수학술포럼을 개최하고 이날 감신대 오광석 교수가 ‘존 웨슬리의 성직 이해: 평신도 목회직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전할 예정이다. 온라인 참여는 유튜브 채널에서 가능하다.(www.youtube.com/channel/UCdzXk1lktcefqQ7AkZ17OIw)

감신대는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하는 시간에 과감한 대면수업으로 새 학기를 맞이한 감신대는 어려운 상황을 잘 관리하며 이제는 학기말을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의 상황 속에서도 대학원이 주관하는 감신교수학술포럼은 목회현장과 학교와의 연결은 위한 대화의 장을 열었고 이번 학기 세 번째 시간을 준비하였다”고 했다.

이어 “이번 발제에 나선 오광석 교수(웨슬리 연구)는 웨슬리사상에 대한 탁월한 학자로 감리교회의 역사와 전통에 관한 전문적이면서도 새로운 해석으로 오늘의 교회를 위한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특히 이번 발표에는 현장에서 목회를 하는 김종윤 목사(평동감리교회 담임), 기문규 목사(혜화동감리교회 담임)가 논찬자로 참여한다. 학교와 현장과의 의미 있는 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오광석 교수가 발표하는 논문에 대한 요약이다”라고 했다.

감신대는 “기독교 역사 안에서 평신도 목회직의 가장 이상적인 모델 가운데 하나는 존 웨슬리의 평신도 설교자들일 것이다. 웨슬리가 만들었던 연합신도회, 속회, 반회, 선별신도회, 참회자반과 같은 소그룹들은 목회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 모임들에서는 교육, 인도, 위로, 회복, 교제와 같은 목회적 돌봄이 구체적으로 실현되었으며, 평신도 지도자들이 그 목회에 참여하였다”며 “거기에서 회원들은 은사에 따라 봉사할 수도 있었으며, 무엇보다 이러한 모임을 통해 평신도 설교자들이 배출되었다. 평신도 설교자들은 순회설교자로 메소디스트 운동의 부흥과 성장을 견인하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웨슬리는 성직자뿐 아니라 평신도들도 ‘영혼구원’의 직무를 감당하는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웨슬리의 초기 메소디즘 안에서는 영혼구원의 사명과 직무에 있어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없었다. 성례전 집례를 제외하고는 성직자와 평신도를 적절히 구별하는 것이 어려웠다. 웨슬리는 이런 맥락에서 ‘협동설교자’ 혹은 ‘설교도우미’로 불리던 평신도 설교자를 목회자의 범주에 포함시켰다“고 했다.

특히 “하나님의 특별한 부르심(extraordinary call)을 받은 평신도 설교자는 자신이 받은 은사대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 그들의 사역에 요구된 것은 그 일을 위해 필요한 은사와 은혜였으며, 그들이 맺은 열매로 그 사역을 평가받았다. 평신도 설교자는 제도와 직제 중심의 성직 이해에서 벗어나 기능 중심의 실용적 목회직 이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메소디스트 목회의 독특성을 보여준다”고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웨슬리가 전통적으로 발전해온 성직 제도를 부정하거나 없애고자 한 것은 아니다. 그는 안수 받은 목회자가 부르심(ordinary call)을 받은 이들임을 인정했으며, 교회가 유지해 왔던 집사(부제) 장로(사제) 감독(주교)의 소위 성직 삼중직을 인정하였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장로와 집사라는 호칭이 평신도에게 사용되고 있지만, 장로와 집사는 기독교 역사에서 전통적으로 성직자의 직책을 지칭하였다”고 했다.

또 “다만 초기 메소디즘 안에서는 집사의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장로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리고 감독이란 호칭 대신 감리사란 호칭이 사용되었다. 웨슬리는 미국 감리교 사역을 위해 처음으로 감리사를 성별하였는데, 미국 감리교 안에서 감리사는 감독의 역할을 하였고 곧 감독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그 감독은 가톨릭교회가 주장하는 단절 없는 사도적 계승의 선상에 있는 성직자로서의 상주감독이 아니라 선교를 위한 순회하는 감독이었다”고 했다.

아울러 “성직에 대한 두 가지 이해가 있다. 하나는 그 열매에 초점을 맞추는 성경적이고 기능적인 이해가 있고, 다른 하나는 그 자격을 증명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권위주의적이고 전통적인 이해가 있다. 전자에서는 사명이 그 직책을 정의하지만, 후자에서는 전통과 계급 구조가 그 직책을 결정하고 합법화한다”며 “웨슬리는 그 둘을, 즉 영국국교회가 신봉하던 전통적 개념과 메소디스트들이 활용했던 기능적이고 성서에 기반한 그리고 목표(열매) 지향적인 개념을, 긴장관계 속에 유지하고 있었다”고 했다.

특히 “웨슬리에게 교회의 존재 목적은 선교이며, 교회의 모든 직제는 기본적으로 선교를 위한 도구이다. 웨슬리는 이 목적을 위해 초기 감리교 안에서 평신도 설교자라는 새로운 직책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같은 목적을 위해 그들에게 성직안수를 실행하였다”며 “최근의 COVID-19 감염병 사태는 더 이상 평신도들이 신앙생활을 위해 목회자에게만 의지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임에 대한 제재와 제약으로 교회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공동체성이 위협받았다. COVID-19 감염병 사태가 진정된 이후에도 앞으로 교회는 이전과는 다른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게 될 듯하다”며 “따라서 교회는 이제 성직자를 중심으로 모이던 형태에서 벗어나 평신도들이 목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평신도 목회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 논문의 토론을 통해 전통적인 성직(목회직) 이해를 넘어 이 시대에 바람직한 목회 이해와 목회자상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웨슬리의 평신도 사역자 활용의 역사와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 평신도 목회의 사명과 미래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

#감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