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교회 목회자 가운데 약 절반이 이중직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는 25일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예장 합동·통합, 횃불회, 아시아미션과 공동으로 ‘이중직 목회자 실태 조사 및 각 교단 대응 방향’이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해당 조사는 주최 측이 (주)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0일부터 7월 1일까지 예장 합동·통합, 횃불회 소속 목사 가운데 일반 목회자 400명, 현재 이중직인 목회자 200명을 합산해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다. 목회자 모두는 출석교인 50명 이하의 교회를 담임하고 있었다.
설문에서 전체 목회자 600명 가운데 이중직을 경험한 목회자 비율은 48.6%로 이들 중 연령대는 40대 이하(37.6%)가, 교회 규모는 출석 교인 20명 이하의 교회를 담임하는 목회자(33.7%)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현재도 이중직을 수행하고 있다는 목회자 비율은 전체 중 31.7%를 차지했다.
전체 목회자 가운데 이중직을 수행한 기간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가 55.5%를 차지했지만, ‘2020년부터 2021년까지’라는 응답비율은 27.3%로 조사됐다. 이에 주최 측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년 남짓한 기간에 더욱 어려워진 교회 재정 상황이 이중직 목회자를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전제 목회자 가운데 사례비를 받지 못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절반에 가까운 47.7%로 나타났다. 이어 51만원-100만원(20.9%), 50만 원 이하(19.5%) 순이었고, 101만 원 이상의 사례비를 받는 목회자는 11.8%에 불과했다.
‘이중직 선택의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은 ‘어려운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서’(60.5%)를 첫 째로 뽑았다. 이어 ‘교회에 의존하지 않고 소신껏 목회하고 싶어서’(19.5%), ‘믿지 않는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 선교적 교회를 하기 위해서’(9.1%) 순으로 답했다.
그러나 이중직 중단 사유 가운데는 ‘해고’(23.6%)가 제일 많았다. 이어 ‘육체적인 힘듦’(21.2%), ‘설교·목회 준비 시간의 부족’(19.7%), ‘목사로서 이중직을 하면 안 될 것 같아서’(7.6%), ‘주위에서 이중직을 안 좋게 봐서’(7.6%), ‘교회가 자립이 돼서’(7.6%) 순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들이 수행했다고 응답한 직업 가운데 노무직(22.3%)이 제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어 자영업(15.9%), 택배(15%), 학원(14.1%), 대리(9.1%), 카페(8.6%) 등 다양한 직업 경험을 응답했다.
그러면서도 목회자 2명 중 1명 이상이 ‘목회에 지장을 주지 않는 이중직을 찾기 어렵다’(54.5%)고 답했다. 주최 측은 “목회와 직업을 양립할 수 있는 이중직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이중직 개수에 대해선 응답자 중 27.3%는 2개 이상이라고 답해, 목회자들은 평균 1.3개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별다른 재능·기술이 없어 내가 할 수 있는 이중직을 찾기 어려웠다’(18.2%), ‘원하는 수입이 있는 이중직 찾기 어려웠다’(6.8%), ‘이중직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얻어야 할 지 몰라서 힘들었다’(5%), ‘이중직에 대한 신학적 확신이 없었다’(5%) 등 다양한 사유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