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르면 국무부는 이번 이사회가 끝난 24일 발표한 ‘46차 유엔 인권이사회 핵심 결과’라는 제목의 설명 자료에서, 미국이 결의안과 공동성명, 개입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 이란 등 14개 나라의 극심한 인권 상황에 대한 대응을 진전시키는 것을 도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과 이란의 경우, 이 나라들의 인권 특별보고관의 임기 연장이 포함된 결의안을 공동 제안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지난 2018년 유엔 인권이사회를 탈퇴했던 미국은 2년 6개월 만에 복귀해 지난 23일 채택된 북한인권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고 VOA는 덧붙였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지난달 이번 이사회 고위급 회기 화상 연설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을 지지해 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고.
한편 유럽연합(EU)도 같은 날 이번 인권이사회 성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발표했다고 한다.
VOA는 “이 보도자료에서 유럽연합은 17년 동안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심각한 인권 상황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며 “유럽연합은 2003년부터 일본과 공동으로 북한인권결의안 초안을 작성했지만, 2019년부터는 단독으로 작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북한인권결의안 작성을 주도한 유럽연합을 대표해 정기회의에서 발언한 제네바 주재 포르투칼대표부의 루이 마시에이라 대사는 “북한 내 인권 상황에 대해 계속해서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VOA는 전했다.
마시에이라 대사는 북한 내에서 계속되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 중 일부는 반인도범죄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