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 기독 콘텐츠 및 구별된 기독 온라인 플랫폼 만들어야”

교회일반
교단/단체
황지현 기자
jhhwang@cdaily.co.kr
  •   
김성중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리더십연구소 소장) ©번개탄 TV

기독교교육리더십연구소가 지난 21일 오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교육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교회교육에 대해 신학교 교수, 담임목사, 교육디렉터, 전도사, 선교단체 등 다양한 영역의 강사를 초청해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중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는 신학교 교수 입장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교육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큰 그림을 그리는 강의를 전했다. 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들어갔을 때 교회교육이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요즘 포스트 코로나 혹은 코로나 시대 강의하는 분들이 다 이야기하는 게 ‘올(All)라인 교육’이다. ‘올라인’은 교육학, 기독교교육학에서도 많이 회자되고 이야기하는 단어이다. ‘올’ 안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다 들어간다. 코로나 전에는 오프라인 교육이었다면 코로나시대를 경험하면서 교육을 전달하는 툴(tool)이 온라인이 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때는 우리 교육의 방향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다 가져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코로나에 대한 위험이 없어진다고 해도 지금까지 축적해 왔던 온라인에 대한 노하우를 다 버리지 않을 것이다. 줌을 활용한 예배와 교육과 영상 편집,촬영 등의 노하우가 교회에 축적돼 있는데 코로나가 끝났다고 놓아버리기엔 아깝다. 게다가 지금 시대적 키워드가 ‘코로나’와 ‘4차 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논하면서 온라인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므로 코로나가 끝나도 온라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 불가결한 사회의 모습일 거다. 그럼 교회도 그 모습을 따라갈 것”이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어떻게 균형을 잡을 것인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코로나가 끝나고 나서 예배를 어떻게 드릴지 고민이 많을 것이다. 오프라인 예배만 하자는 부류, 온라인이 중요하다는 부류가 나뉠 것이고, 특히 다음세대의 예배에 관한 고민이 많을 것이다. 올라인 교육의 예를 들면 주일은 오프라인 현장 예배로 주중 예배는 온라인으로 드리는 것이다. 오프라인 예배는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예배 중의 예배이고, 신학적으로나 성경적으로도 자연스럽게 해석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현장 예배이다. 특히 아이들은 오프라인으로 해야 교육적인 부분에서 채워질 수 있는 영역과 교육 커리큘럼이 있다”며 “기독교 교육자 입장에선 100%로 온라인은 안되고, 오프라인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교회 특히 다음세대가 잃어버린 게 주중 예배다. 다음세대 주중예배는 코로나 이전에도 없었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 다음 세대의 주중 예배를 살려서 온라인예배로 이원화되는 올라인 교육의 예를 들었다”며 “교회 상황에 맞게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대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두 번째는 ‘교회 교육 5가지 영역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교회 교육의 다섯 가지 영역은 케리그마(말씀선포와 전도), 레이투르기아(예배와 예전), 디다케(가르침과 훈련),코이노니아(친교와 교제), 디아코니와(봉사와 섬김)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 다섯 가지의 중요한 영역을 어떻게 균형 잡힌 교육커리큘럼으로 만들어서 진행할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균형 교육이 제일 좋은 교육이다. 균형 잡힌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기획하고 준비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교회교육과 가정교육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다. 코로나 시대를 경험하면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교회 교육전문가들은 가정교육의 시대라고 이야기한다. 그만큼 가정에서 부모가 신앙의 교사 역할을 하는 게 너무나 중요해진 시대이다. 부모를 가정의 신앙 교사로 세우고 협업면서 신앙교육, 교회 교육을 감당해야 한다. 그래서 교역자, 교회학교 교사, 부모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서 계속해서 연합해야 한다. 자녀를 위해 기도하는 ‘어머니기도회’가 그와 같은 예이다. 또 교회에선 부모대학 및 부모 헌신예배를 해야 한다. 부모대학 커리큘럼은 신앙교육 내용에 대한 커리큘럼이 있어야 하고, 자녀들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내용에 대한 커리큘럼이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나서 수료식도 하고 교회에서 부모헌신예배도 할 수 있어야 한다.부모도 배워야 할 수 있다. 이 부분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한 방향으로 언급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가정예배학교다. 가정예배가 살아야 아이들의 신앙이 살 수 있다. 가정예배를 어떻게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교재는 부모의 입장, 교역자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아이들은 내용보다 어떻게 전달하고, 어떤 방법을 쓸 것인지 형식이 더 중요하다. 이제는 가정예배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는 실제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마지막으로 연령대별로 필요한 신앙의 주제와 삶의 주제에 맞춘 연령대별 맞춤식 기독교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 만들기가 들어가야 한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유튜브라는 온라인 플랫폼은 기독교신앙관점에서 볼 때 구별된 플랫폼이 아닌 세상 플랫폼이다. 이제는 기독 콘텐츠만 올릴 수 있는 구별된 온라인 플랫폼,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온라인 놀이터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기독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기독재단, 방송국, 참여교회, 연구소, 신학 교수 자문의 연합기구가 필요하다. 연합기구가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고 좋은 온라인 연령대별 기독 콘텐츠가 올라올 수 있도록 협업하고 고민하고 도움을 주고받아야 한다.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의 시대가 열려야 한다. 세상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좋은 기독교적인 마인드와 철학을 가진 콘텐츠도 필요하고 직접적인 신앙교육의 내용을 담은 컨텐츠도 필요하다. 이런 온라인 콘텐츠를 담을 그릇을 만드는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만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기독교교육리더십연구소 #포스트코로나 #김성중 #김성중교수 #다음세대교육 #다음세대 #기독교교육 #교회학교 #교회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