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 인력 3명 중 1명은 ‘번아웃’ 호소

사회
식품·의료
서다은 기자
smw@cdaily.co.kr
서울대 유명순 교수·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조사

지난달 17일 광주 북구보건소 효죽공영주차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냉조끼를 입고 있다. ©광주 북구
코로나 방역과 치료를 담당하는 인력 3명 중 1명은 번아웃(burn-out·소진) 상태에 처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와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이 같은 내용 등을 포함한 '제2차 경기도 코로나19 치료 인력 인식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29일까지 경기도 코로나 담당 1천1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이 중 621명이 설문에 답했다.

조사 결과 이들 중 47.6%는 5개월 이상 코로나 업무를 맡고 있었다. 평균 업무 기간은 4.9개월이었으며, 일평균 근무 시간은 5.82시간, 일평균 휴식시간은 1.58시간이었다.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의 근무시간은 7.21시간, 선별진료소 업무 등을 맡는 보건소 공무원의 근무시간은 6.31시간으로 치료 팀(병원 간호사 5.67시간, 간호사 외 의료진 5.24시간)보다 길었다.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업무 시간이 길어지면서 번아웃을 호소하는 인력도 많았다. 번아웃을 구성하는 3대 요소인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저하' 모두 기준값 이상인 인력은 전체의 33.8%를 차지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별로는 20대, 직종 중에는 현장 대응직에서 감정 고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 코로나 치료 및 방역 인력의 69.7%는 코로나 업무를 하던 중 울분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울분을 터뜨렸다는 답변은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유 교수는 "코로나 치료와 방역 인력들이 장기간의 업무로 정서적인 탈진 상태에 놓여있다"며 "일에서 성취가 아닌 냉소감과 낮은 효능감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받아든 방역 성적표의 뒷장이자 이면인 셈"이라고 했다.

이희영 경기도 공공보건의료단 단장은 "감염 발생 현황은 하루하루마다 달라서 치료·방역 대응 인력의 부담은 반년이 넘도록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만일 가을과 겨울 코로나19가 다시 급증하면 제대로 된 휴식 없이 1년 이상을 과도한 업무에 놓인다"며, "중앙과 지자체는 대응팀에 대한 물리적 보상뿐만 아니라 그 이상으로 정신적·심리적인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