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고삐 '풀고 조이기' 언제까지 해야 하나

사회
식품·의료
편집부 기자
press@cdaily.co.kr
"치료제·백신 나올 때까지"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산발적 확산이 심상치 않자 방역을 강화하는 조치를 내놨지만, 이런 한시적 방편이 끝난 이후에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효과적인 백신과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는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방역의 고삐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29일부터 수도권 PC방과 노래방,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과 유흥시설은 운영 자제가 권고되고 운영 시 방역수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행정조치가 이뤄진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학원과 코인노래방, 돌잔치를 거쳐 확산되고 수도권 소재 물류센터에서 다수의 확진자가 나오는 데 따른 후속조치다. 이 조치는 6월14일까지 이어진다.

관건은 6월14일 이후다. 정부는 3월21일부터 종교·체육·유흥시설에 행정명령을 동반한 운영 제한과 전 국민의 외출 자제를 권고하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다가 5월6일부터 강제성을 없앤 생활 속 거리두기로 완화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중 하루 신규 확진환자는 50명 이내로 유지됐지만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 후 22일째인 지난 28일 신규 확진자가 79명 발생했다.

정부가 방역의 강도를 높이면 확진자가 줄어들다가 이를 완화하면 다시 확진자가 늘어나는 현상이 반복되는 것이다.

감염 전파를 선제적으로 방지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교회, 병원, 요양시설, 클럽 등 유흥시설, 코인노래방 등 다중이용시설, 콜센터, 물류센터 등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특히 콜센터나 물류센터 같은 경우 집단감염 우려와 관련해선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장소다. 집단감염이 언제 어디서든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렇다고 집단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모든 시설과 장소를 무기한 폐쇄할 수도 없다. 경제적 타격이 심각한 것은 물론 국민들의 장기적 참여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김동현 대한역학회장(한림대의대 교수)은 "경제활동을 위해 흔히 다이나믹 디스턴싱(Dynamic Distancing)이라고 해서 밀고 당기고, 오르면 누르고 또 풀어주는 현상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러한 '풀고 조이기'의 반복 주기를 단축하고 보다 안정적인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선 정부와 국민의 역할과 동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우주 고려대학교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우리는 날마다 새로운 상황을 겪을 것이다. 클럽이나 노래방, 물류센터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부분"이라며 "밀폐된 공간에서 집단 근무하는 곳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쿠팡 물류센터의 경우 식사를 다닥다닥 붙어서 했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괜찮을 것이라는 현장 책임자들의 생각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갑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파를 차단할 방법을 바꾸든지 (시설의)문을 닫든지 둘 중에 하나가 남을텐데 문을 다 닫을 수는 없다. 방법을 어떻게 바꿀지 고민해야 한다"며 "불가능하다고 하면 돈을 주고 쉬라고 하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시작할 때 고민을 많이 못해서 생기는 부분들"이라며 "정부가 현장의 의견도 들어보고 고민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구무서 기자

#코로나 #방역 #치료제 #백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