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트루스포럼’의 연구위원인 조평세 박사(북한학)가 본지에 ‘기독교 보수주의란 무엇인가’를 매주 한 차례 연재할 예정입니다.
몇 년 전 러셀 커크(Russell Kirk, 1918~1994) 탄생 100주년을 맞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보수주의 세미나에 참석할 기회가 있었다. 러셀 커크는 그해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보수의 정신> 등의 걸작을 통해 미국에서 보수주의 사상을 정립한 인물이다. 그곳에서 나는 커크의 부인 아넷 커크(Annette Kirk)를 비롯한 그의 제자들, 즉 1950년대 중후반부터 미국 보수주의의 회복을 이끌어낸 현대 보수주의의 주역들을 일부 만나볼 수 있었다.
세미나가 끝나고 이제 노년이 된 보수주의 거목들에게 다가가 한국에서 보수주의 청년운동을 시작하고 있는 학생이라고 소개하며 정중히 물었다. “커크가 설파한 보수주의 사상을 친구들에게 한참 설명하다 보면 어느 순간 기독교 복음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게 도대체 맞는 겁니까?” 그들은 무슨 말인지 잘 알고 있다는 듯 크게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그렇다면 당신은 보수주의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네요.”
그렇다. 인간 상위의 초월적인 도덕적 질서와 인간의 한계를 겸허히 인정하는 것을 기본 태도로 삼는 보수주의는, 창조질서와 인간의 원죄를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 세계관을 전제하지 않는다면 선뜻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개념이다. 미국 보수주의 운동의 아버지라고 알려진 윌리엄 버클리 주니어(William Buckley Jr.)는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종교적일 필요는 없지만 종교(기독교)에 적대적일 수는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커크는 <보수의 정신>을 집필한 후 바로 이 보수의 정신과 기독교 가치관의 관계를 추적하기 위해 20년 동안 연구에 몰두한다. 인류 역사의 무려 3,500여 년을 망라한 그 놀라운 결과물이 1974년에 출간된 (미국 질서의 뿌리)이다. 그는 이 대작에서 보다 성숙한 보수주의 사상을 펴내는데, 보수의 정신이 미국에서 국가질서의 형태로 구현되기까지는 영국의 자연권 전통과 로마제국의 공화주의 실험, 그리고 헬라 문명의 정치철학적 고찰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은 ‘도덕법’이 그 뿌리에 있다고 설명한다. 보수주의 질서는 ‘5대 도시(문명)’, 즉 예루살렘과 아테네와 로마와 런던을 통해 발전해 필라델피아에서 <독립선언서>와 <미국 헌법>을 통해 비로소 실현되었고, 그 중추에는 다름 아닌 기독교 문명이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커크가 정립한 이 보수주의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사실 보수주의는 ‘기독교’라는 형용사가 붙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기독교 가치관 혹은 유대-기독교 전통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보수주의(Conservatism)’라는 단어 자체에 기독교적 세계관과 전통이 담겨있다. 물론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다 기독교인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창조주 하나님과 인간의 한계에 대한 인정이 그 정신과 사회문명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앞서 언급한 행사장에서 나오기 전 보수주의 원로들에게 마지막으로 질문을 던졌다. “기독교 전통의 바탕이 풍부한 미국과 달리 한국과 같은 세속적 사회문화 바탕에서도 커크가 말하는 보수주의가 과연 뿌리내릴 수 있을까요?” 그들 중 서울에 가본 적이 있다는 한 어르신이 고개를 갸우뚱하며 이렇게 되물었다. “한국은 교회가 정말 많지 않나요?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기독교의 역할이 크다고 알고 있는데요.”
미국 보수주의 원로의 이 짧은 마지막 말은 오랫동안 묵직한 충격으로 마음을 때렸다. 마치 이렇게 추궁하는 것 같았다. “그 많은 교회들이 한국사회에서 본연의 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대한민국의 건국도 미국과 다를 바 없이 기독교의 독립정신으로 가능했던 것인데 그 역할을 잊은 건 아닌가요?” “결국 한국의 교회와 크리스천들이 정치철학적 보수주의의 정신적 기반을 쌓아 올려야 하는 것 아닌가요?”
참된 보수주의 정신은 결국 교회를 중심으로 크리스천들을 통해 사회에 확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크리스천들이 먼저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보수주의의 가치를 제대로 배우고 확립해야 한다. 우리가 보수주의를 굳이 ‘기독교 보수주의’라고 강조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참된 보수주의를 몰라서 처참히 무너진 한국보수를 재건하기 위해 우리 크리스천에게 맡겨진 짐이 그만큼 막중하다. 분명한 것은 보수주의의 가치를 전파하는 것은 크리스천 본연의 사명인 복음을 전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계속)
조평세 박사(북한학, 트루스포럼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