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행정부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전담했던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인권 문제에 관심이 덜 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고 VOA가 최근 보도했다.
북한인권 상황과 미국의 접근법을 총망라한 기록물을 집필 중인 그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부각시키고 현 주소를 보여주면서 이 사안의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 기록물 집필을 시작하게 됐다고 동기를 밝혔다.
그는 이 저서를 통해 "미 의회가 지난 2004년 북한인권법을 채택하면서 어떤 기대를 걸었고, 무엇을 우려했고, 왜 법안을 작성하고 어떤 식으로 진행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며 2011년 방북 당시 상황이나 북한인권 특사로서 북한 당국자들과의 접촉 사례 등도 공개된다고 전했다.
킹 전 특사는 "북한인권특사를 맡고 북한 식량 문제를 논의하면서 북한과 매우 좋은 대화를 나눈 바 있다"며 "하지만 2011년 말 김정은이 지도자가 되면서 북한은 입장이 달라졌고 젊고 아버지보다 경험이 적었던 김정은이 가져온 변화는 제가 하려던 일을 훨씬 어렵게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킹 전 특사는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에 대해 지적하면서 "현 행정부는 북한 인권에 관해 관심이 덜한 것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두번 반'의 정상회담을 함으로 미국은 한국과 군사훈련을 축소했지만 북한은 군사훈련을 계속하고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동안 미사일을 계속 발사하고 있다"며 "인권 사안을 후퇴시키며 북한과 무엇인가 해보려 했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킹 전 특사는 "상원이 지난 2018년 북한인권법 재승인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고 하원 역시 전원 가결 처리했지만 북한인권특사 자리가 3년 넘게 공석으로 남아있다"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차례 걸쳐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회의를 개최했고 니키 헤일리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재임 중이던 2017년 12월 마지막 회의가 열린 후 미국은 이 문제에서 후퇴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 몇달 전 미국이 유엔 안보리 북한 인권 회의 개최를 지지하지 않았다"며 미국의 북한 인권 관련 정책에 우려를 표명했다고 VOA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