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기자협회] 우리나라 국민들의 노후준비 점수가 절반수준에 그쳐 노후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전국의 성인 남녀(만 35세 이상 64세 이하) 1,0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예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노후준비 점수는 55.2점으로 전반적으로 노후준비가 미흡했다.
이번 예비조사는 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1차 개발 지표의 국민연금공단 내방객(1,092명) 대상 조사 결과(63.1점)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국민연금 가입자의 경우 소득과 자산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역별로는 사회적 관계 63.9점, 건강한 생활습관 68.2점, 소득과 자산 40.5점, 여가활동 48.1점으로 나타나 건강에 대한 노후준비도가 가장 높고 소득과 자산 노후준비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전광우)는 민관 합동으로 노후준비 지표를 개발하고 컨퍼런스를 개최함으로써 고령사회 대비 전국민의 노후준비 인식 제고를 추진한다.
삼성생명연구소, Metlife,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원, 학계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지난 2월에 1차 개발된 노후준비 지표를 보완.발전시켰다.
이번에 보완된 노후준비지표는 사회적관계, 건강, 소득과 자산, 여가활동 등 4개 영역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1차 개발되었던 지표에 각 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가 문항을 추가하여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중요도 평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표의 정밀성을 높였다.
또한, 노후준비 총괄 진단지표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실제 노후준비 정도와 인식의 일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민간보험사 및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소득과 자산 관련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공적.사적 자산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예비조사 결과 심층 분석 및 컨퍼런스를 통해 지표를 보완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 등을 추가하여 금년 하반기에 일반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보완작업을 거쳐 일반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노후준비지표를 확정하고, 경제사회적 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온라인 진단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앱 개발.보급을 통해 전국민이 수시로 노후준비수준을 점검하여 노후설계를 하도록 한다.
복지부는 노후준비지표를 활용하여 준비가 부족한 영역을 확인하고 이를 채워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노후준비지표를 활용한 노후준비정도 진단을 토대로 국민연금공단* 및 보건복지서비스 제공인력을 통해 맞춤형 노후설계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칭 '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을 통해 생애전환기별 1회 이상 노후설계교육 이수를 유도하는 등 노후설계 서비스 제공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보건복지부 이재용 고령사회정책과장은 "민간보험사도 그간 은퇴준비지수를 개발해왔기 때문에 민관이 협력함으로써 더 발전된 지표를 만들어갈 수 있었다"며 "앞으로는 민간보험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전국민의 노후준비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