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체감 물가와는 괴리 커졌다

19개월만에 2%대 기록…전철·시내버스 요금 인상은 서민들 '부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오히려 나빠졌다. 계속되는 고유가에 도시가스비, 지역난방비, 하수도요금이 급등한 탓이다.

전·월세 시세의 강세가 여전한 상황에서 전철과 시내버스 요금 인상까지 겹쳐 통계상 물가지표와 실제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 간 거리는 좀 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3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오르고 전월보다는 0.1% 내렸다.

지난해 같은달 보다 상승률은 2010년 8월 2.7% 이후 처음으로 2%대로 내려왔다. 최근 상승률은 지난해 11~12월 각 4.2% 뛰었다가 지난 1~2월 3%대로 낮아졌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3월에 전년 동월보다 1.9% 올랐다. 다만 지난해 3월(3.0%) 이후 12개월 만에 1%대로 둔화됐고, 전월보다는 0.4% 내렸다.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2.6%)에 영향을 미친 부문별 지수를 보면 작년 3월보다 축산물(-10.1%), 내구재(-1.3%)가 가격 인하 효과를 냈다. 그러나 농산물(9.4%), 석유류(6.0%), 전기ㆍ수도ㆍ가스(5.7%) 등은 물가를 밀어올렸다.

지출 목적별로는 작년 3월 대비로 주택ㆍ수도ㆍ전기(5.4%), 의류ㆍ신발(5.0%)이 5%대 상승률을 보였다. 식료품ㆍ비주류음료(4.9%)는 배추, 풋고추, 무 가격이 폭등하며 눈에 띄게 올랐다. 통신(-3.4%), 오락ㆍ문화(-0.2%)는 안정됐다.

전월보다 전철요금과 휘발유 값이 올라 교통(4.6%) 품목이 고공행진했다.

품목별로는 서민 먹거리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3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쌀(14.4%), 설탕(13.2%), 우유(11.8%)가 10%대를 웃돌았고 라면도 8.1% 올랐다.

알뜰주유소나 석유제품 전자상거래 시장 개설 등 다양한 대책에도 휘발유(5.3%), 경유(6.0%), LPG(7.4%), 등유(7.4%) 모두 올랐다.

전월세는 작년 같은 달보다 4.9% 올랐고 지난 2월보다도 전세(0.6%), 월세(0.2%) 각각 올라 상승세가 이어졌다.

시내버스요금(9.6%), 전철요금(14.0%), 도시가스요금(9.8%), 상수도요금(2.8%) 등 공공요금 인상도 속출했다. 지난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전철료는 서울(15%)ㆍ인천(15%)ㆍ경기(11.3%)에서 크게 올랐다.

보육료와 유치원납입금 인하, 무상급식 확대 등 복지정책이 발효하면서 낙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보육시설 이용료는 지난 2월보다 서울(-43.9%)ㆍ대전(-42.6%)ㆍ제주(-44.7%)를 비롯해 16개 광역시도 모두 내렸다. 학교 급식비는 전북(-73.6%)ㆍ경기(-31.0%)ㆍ부산(-11.8%) 등 지역은 내렸지만 전남(68.6%)ㆍ대구(4.0%)처럼 오른 곳도 있었다.

기획재정부는 "3월 대형마트의 가공 식품 가격인하가 물가 안정에 이바지했지만, 농산물가격 불안과 혼란스러운 국제유가가 상승 요인이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4월 총선 이후 유가와 원자재가 상승분은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기재부는 전망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