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 칼럼] 570돌 한글날과 한글민족

교회일반
교단/단체
편집부 기자
press@cdaily.co.kr
  •   
미래목회포럼 사무총장 이효상 목사 칼럼

얼마전「사민필지」를 접하게 되어 130여년전의 감동을 받으며 읽게 되었다.「사민필지」는 고종황제가 1884년 육영공원을 세우고 미국정부에 교사를 초청해 헐버트선교사가 조선에 온 지 3년 만인 1890년 출간된 한글전용 교과서이다. 헐버트 선교사는 한글의 과학적인 구조와 그 편리함을 누구보다도 먼저 깨달았고 또한 이렇게 뛰어난 한글이 언문이라는 이름으로 홀대받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그래서 세계의 지리지식과 문화를 소개하는 최초의 한글 교과서이자 지리총서로 세계를 모르는 한국인들에게 세계를 알리고, 한국을 모르는 세계인들에게 책으로 한국과 한글을 알린 것이다. 한글로 편찬하여 배포한 결과 한글보급은 물론 육영공원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인기가 높았지만 순한글로 기록했다는 이유로 순한문으로 다시 출판되기도 했다.

한글 보급은 역사상 최초의「한불자전」과「한영자전」등을 만든 것도 선교사들의 역할이었다. 특히 1884년부터 펴낸 쪽복음과「예수성교전서」를 번역한 죤 로스선교사를 비롯하여 선교사중에는 언더우드와 게일의 역할이 컷다. 그들의 한글사용이 오늘날 한글민족과 문맹제로의 국가를 만드는데 기초가 되었다.

1894년「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박사도 순 한글 신문제작이었다. 그러나 1910년 8월 29일,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국권을 상실한 치욕의 날인 경술국치를 맞았다. 이런 시대상황에서도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조선어학회'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그 당시 주시경선생의「국어문법」과「말의소리」는 우리말의 체계를 정립한 최고의 업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3·1운동 이후 일제의 한반도에 대한 문화 정치 시대에 우리말을 연구하는 내국인 학자들이 한글 맞춤법 통일, 표준말 사정, 외래어 표기법 등을 제정하기도 하였다. 조선어학회는 우리말 연구 기관일 뿐만 아니라, 우리말과 우리글이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나아가 우리말과 우리글을 우리 민족 모두에게 알린 실천 기관이며 민족 기관이기도 했다. '조선어학회'는 주시경 선생 등을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 전에 창립되어 식민지 기간을 거쳐 오면서 「한글」의 연구와 보급을 위해 큰일을 감당했다. 일제의 조선어 말살정책에 맞서 한글을 지키고 연구하는 데 앞장섰던 것이다.

그러나 일본은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이란 기구를 만들어 황국신민화 정책을 펼쳤다. 36년간의 일제 치하에서 가장 어려운 고통은 정신문화를 말살하고자 한 창씨개명과 한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한 것과 '국민의례'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신사참배는 교회핍박이었다.

한글 사용을 금지시키고 일본어를 국어로 가르쳤다. 교과과정에서 한글 교육은 사라졌다. 특히 찬송가와 예배순서에도 황국신민서사를 외우고 기미가요를 부르게 했으며 일왕이 있는 곳을 향해 절하도록 했다. 전국의 학교와 면소재지에 신사를 세워놓고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세계문자 가운데 한글, 특히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한다. 그것은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이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다. 그래서 한글은, 정확히 말해 [훈민정음 해례본]은 진즉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사실 한글은 우리 민족이 창조해낸 위대한 문자이며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의 미래이다.

한글은 표음문자(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음절을 닿소리와 홀소리로 나누고, 받침은 닿소리가 다시 쓰이게 함으로써 가장 경제적인 문자로 구성되어 있고, 음절구성의 원리가 간단하여 배우기가 쉬운 문자로 세계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금년은 570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이자 오늘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1443(세종 25)년에 조선의 4대 왕 세종(世宗)대왕이 집현전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모두 28자로 이루어졌다.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했는데,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고 한다.

이 때 [훈민정음 해례본]은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으로 전권 33장 1책으로 되어 있고,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서문인 예의(例義)와 정인지 등이 지은 해례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이자 현재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 국보 제1호는 남대문이다. 남대문은 1933년 조선총독부가 국보(당시 명칭 보물)를 지정하면서 그 첫 번째 목록에 올렸다. 숭례문은 광복 70년이 다 된 지금까지도 국보 1호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얼마전엔 화재와 부실시공 논란에 휩싸이면서 국보 1호로서 품격 등에 큰 손상을 입었다. 더 이상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는 숭례문은 대한민국 국보 1호로 자격도 없어 보인다. 이제는 건축물에서 정신문화의 상징인 훈민정음으로 바꿀 때도 되지 않았나 싶다.

「한글의 투쟁」서문에서 최현배 선생은 쓴 길이 기억난다. "한글은 우리 겨레의 정신문화의 최대의 선물이며, 세계 온 인류의 글자문화의 최상의 공탑이다. 이는 우리의 자랑인 동시에 또 우리의 무기이다. 이를 사랑하며 이를 기르며, 이를 갈아 이를 부리는 데에만, 우리의 생명이 뛰놀며, 우리의 희망이 솟아나며, 우리의 행복이 약속된다."

#한글날 #한글 #이효상 #이효상목사 #미래목회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