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세계 26위…'2007년 11위였는데'

경제
경제일반
편집부 기자

한국이 세계경제포럼(WEF)의 2015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지난해와 같은 26위에 머물렀다.

이는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지난해와 같은 순위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세계 14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평가에서 한국은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26위를 기록했다.

WEF가 매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2007년 역대 최고인 11위로 올라선 이후 2012년 24위에서 19위로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하향 곡선을 그려왔다.

2013년부터는 25∼26위에 머물러 있다.

국가별로 보면 스위스, 싱가포르, 미국이 지난해와 같은 1~3위를 기록했다. 독일은 1단계, 네덜란드는 3단계 순위가 상승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6위), 대만(15위), 아랍에미레이트연합(17위), 말레이시아(18위), 사우디아라비아(25위) 등이 우리나라보다 순위가 높았고, 중국(28위), 태국(32위), 인도네시아(37위) 등은 우리보다 순위가 낮았다.

WEF는 ▲기본 요인 ▲효율성 증진 ▲기업 혁신 등 3대 분야에서 12대 부문, 114개 항목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평가한다.

우리나라는 금융시장 성숙도(80→87위), 기술 수용 적극성(25→27위), 시장 규모(11→13위), 기업혁신(17→29위) 4개 부문에서 순위가 하락했다.

특히 금융 시장 성숙도 부문에서 대출의 용이성(120→119위), 금융서비스 이용가능성(100→99위), 은행건전성(122→113위) 등의 항목이 하위권에 머물렀다.

시장규모 부문은 해외시장 규모(6→8위), 국내시장 규모(12→13위), GDP(12→13위) 등의 지표가 하락했다.

거시경제(7→5위), 인프라(14→13위), 상품시장 효율성(23→26위), 노동시장 효율성(86→83위) 등 7개 지표에서 순위가 상승했다.

가장 순위가 높은 거시경제 부문은 인플레이션(1위), 국가저축률(19→14위), 국가신용도(22→20위) 등 대부분 지표가 개선됐다. 그러나 확장 재정 정책의 영향으로 재정수지(14→19위)는 악화했다.

노동시장 효율성 부문은 순위가 3단계 올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노사 협력(132위), 해고비용(117위), 고용 및 해고관행(115위) 등 고용 관련 항목이 부진했다.

기재부는 WEF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활성화 정책 등에 힘입어 거시경제 부문 등 개선세가 뚜렷하나 취약 분야인 노동·금융부문이 순위상승을 제약했다"며 "현재 추진중인 구조개혁이 국가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므로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국가경쟁력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