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1984년생 '절반'은 노후 연금 전혀 없다

국민연금·퇴직연금 다 받아도 은퇴전 소득의 43∼46%

1952∼1984년 출생자의 절반가량이 노후소득 보장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1년 말 기준으로 27∼59세에 해당하는 이들은 공적연금은 물론 사적연금조차 들지 못해 노후빈곤에 시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해봉 연구원과 국민연금연구원 한정림 연구원은 22일 '다층소득보장체계의 수급권 구조와 급여 수준 전망'이란 연구보고서에서 1952∼1984년생 중에서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는 중복 수급 비율은 29% 정도로 추정했다.

보고서를 보면 퇴직연금은 못 받고 국민연금만 받는 비율은 21%가량이었으며,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지 못하는 비율은 1952∼1984년생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인 49.3%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동시에 받는 비율이 남성 38%, 여성은 21%였다.

국민연금만 받는 비율은 남성 29%, 여성은 14% 수준이었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지 못하는 비율은 남성 33.34%, 여성은 64.68%로 추산됐다.

출생연도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1950년대 후반 출생자는 퇴직연금 도입 당시 이미 나이가 40대 후반으로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아 퇴직연금 수급권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1957년생 중에서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는 비율은 19.65%에 불과했다.

이에비해 1980년생은 49.89%가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아도 노후 소득은 퇴직 전 평균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1952∼1984년 출생자 중 국민연금 수급권을 획득한 수급자 전체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생애 전 기간 평균소득과 대비한 연금 수령액 비중)은 대략 30%에 그쳤다.

국민연금뿐 아니라 퇴직연금에 가입해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모두 받는 1952∼1984년 출생자의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통합 소득대체율도 대략 43∼46%에 머물렀다.

연구진은 "최근 출생자조차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가지고는 적정 소득대체율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은퇴해서도 근로소득을 올릴 수 있게 중고령자 노동시장을 활성화하는 등의 일자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보건사회연구'(2015년 3월호)에 실렸다.

  ©뉴시스

#노후연금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