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칼럼] 통일, '헛 꿈' 꾸기

▲이만열 교수(숙명여대 명예교수·전 국사편찬위위원장)

[기독일보=평화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 어느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다. 철들고 난 뒤부터 통일을 위해 늘 기도해 왔는데, 이제는 내 생전에 통일을 보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접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 이유를 딱히 밝힐 수는 없었다. 한반도에서 외세의 관여가 더욱 심화되는 현상이라든가, 남북의 적대관계가 쉽게 풀려지지 않고 반복되면서 점차 심화․확대되는 것을 생각하면 통일을 기대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전작권 문제는 외세와의 관계에서 자존심을 송두리째 뺏은 것이다. 이런 폭거를 감행한 정권이 존재할 수 있다니! 그것도 외국에 애걸하면서 맡아달라는 모습까지 보였으니 이런 상황에서 어찌 자주를 언급할 수 있으며, 어찌 통일지향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을사늑약으로 강제로 외교권이 빼앗긴 것을 두고도 '을사오적'이니 '매국노'니 하는 딱지를 붙였는데, 국방권을 다른 나라에 '자진헌납한' 것이나 다름없는 짓을 한 정권에 대해서는 한마디 말이 없다.

그 동안 통일에 접근할 수 있는 몇 번의 모멘텀이 없지 않았지만 그걸 살려내지 못한 옹졸한 우리 세대를 생각하면, 우리가 과연 통일을 감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이 절로 난다. 그 때문에 내 생전에 통일보기가 힘들겠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통일과 북한 동포를 위한 기도를 중단할 수는 없다. 그런 중에 문익환의 <꿈을 비는 마음>이 생각나서 "통일의 헛꿈"이라도 꾸어보면 어떨까 생각했다. 그 시의 첫 연에는 "개똥같은 내일이야/ 꿈 아닌들 안 오리오마는/ 조개 속 보드라운 살 바늘에 찔린 듯한/ 상처에서 저도 몰래 남도 몰래 자라는/ 진주 같은 꿈으로 잉태된 내일이야/ 꿈 아니곤 오는 법이 없다네>라는 싯귀가 있다. 통일의 희망을 포기한 나지만, 이 시 때문에 생각을 바꾸어 '헛 꿈'이나마 꿔보기로 했다. 우선 그 헛꿈을 위해서는 통일을 동일한 정치이념과 정부 아래서 일사불란한 체제를 갖추는 것만으로 생각하는 데서 벗어나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 통일에 대한 기대는 내 생전에 기대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런 통일 말고 다른 대안적 통일이 없을까 하는 것이 '헛 꿈'을 꾸게 된 계기다.

'통일 헛꿈'은 남북이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이산가족이 소식을 자유롭게 주고 받도록 하며, 남북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만 있다면 그것이 바로 통일이라는, '개념의 재정립'에서 시작된다. 이런 것들은 아직은 모두 '헛꿈'이다. 적대관계를 청산하는 것 자체가 통일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긴장관계 때문에 서로에게 부담지우고 있는 낭비를 줄이고 그 재원을 자신의 성장을 위해 투자하게 된다면 '헛 꿈'치고는 괜찮은 것이다. 이것은 당장은 통일 사업이라고 할 수 없지만 통일 후에 소요될 막대한 자본이 소요될 것을 미리 줄인다는 점에서 그 또한 훌륭한 통일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산가족이 자유롭게 소식을 주고 받고 물자를 주고 받도록 하는 것, 이 또한 지금의 단계에서는 물론 '헛 꿈'이다. 그러나 통일을 인도주의의 방법으로 시행하자면 여기에서부터 시작되지 않을 수 없다. 1천만 이산가족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 자체가 적대관계이면서 전쟁의 연장선상이나 다를 바가 없다. 분단된 지 70년, 이제 웬만한 이산가족은 한을 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정치가 얼마나 모지면 그런 것도 풀어주지 못한단 말인가. 이런 것도 서로 들어주지 못하는 깜냥들이 정권을 잡았네 하는 꼴이란 민족사에서 어떻게 평가될까. 이런 단계를 무시한 그 뒤의 정치적 국토적 통일을 과연 통일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산가족의 상봉이나 소식 나눔은 마음의 통일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마음의 통일이 성숙되지 않는다면 체제적 통일이 이뤄진들 통일이라고 할 수 있을까.

또 다른 '헛 꿈'은 남북의 지형적 정치적인 경계를 그대로 둔 채, 남북의 백성들이 자기 여권 가지고 외국에 드나들 듯 상대방의 남북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과 평양을 방문하고 백두산과 한라산을 방문하며, 금강산 유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게 왜 안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그렇게 하면 실질적으로 통일이나 마찬가지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정주영이 소 1,001마리를 몰고 휴전선을 넘을 때 우리는 그런 꿈이 쉽게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그 뒤 남북의 집권자는 정주영만한 배포와 경륜을 갖지 못해 아직도 그 꿈을 현실로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러나 이 꿈은 실현시켜야 한다. 그렇게 생각하니 어쩌면 내 생전에 이런 '헛 꿈' 통일은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게 된다.

자유내왕의 문제는 남북이 한참 체제경쟁을 할 때에는 쉽게 해결될 수 있었다. 그 때는 헛꿈이 아니라 진짜 꿀 수 있는 꿈이었다. 당시 양측은 모두 자기 체제가 우위며, 자기들이 더 잘 산다고 떠들어댔으며, 심지어는 지상천국이라고까지 선전도 했다. 그들의 선전대로라면 잘 사는 자기 영토를 자기보다 못산다는 상대방에게 개방못할 이유가 없었다. 자신이 있다면 남이든 북이든 자기 모습을 상대방 동포들에게 개방하지 못할 이유가 없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쌍방이 그렇게 선전하고 있을 때 "그래 그 말이 진짜인지 서로 보여주기로 하자"고 하는 합의가 왜 없었는지 궁금하다. 자기의 약점을 감추기 위해 떠벌렸런 허풍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허풍을 이용하여 상대방을 열어보는 그런 지혜와 경륜은 당시 통일론자들이 왜 갖지 못했을까.

자유롭게 내왕할 수 있는 상황, 순진한 소리라고 하겠지만, 나는 그것을 통일이 상당히 진전된 단계라고 생각한다. '헛 꿈'치고는 정말 실현시키고 싶은 꿈이다. 상대방의 체제 속에 들어가 살도록 강제하지는 못하지만, 분단체제에 살면서도 남이든 북이든 가고 싶은 곳에 가보도록 한다면 그건 통일이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흩어졌던 가족도 자유롭게 만나고, 남이든 북이든 자기 고향도 찾아가 조상님 무덤에 술한잔 올리고 고향집에 새로이 나무 한그루라도 심을 수 있다면 그게 소박한 의미에서 통일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그러나 지금은 그런 소박한 통일 꿈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자기의 것이 너무 노출되어 이제는 선전이 먹히지 않게 되었고, 상대방을 너무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꿈이 꿈으로 끝날 수는 없다.

'헛 꿈' 통일이 지금은 전혀 불가능한가. 아니다. 남북이 합의만 하면 길은 얼마든지 있다. 여기부터가 '헛 꿈'은 현실로 바뀌어질 수 있다. 꿈의 출발은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에 이룩했던 북한 방문 정도라도 우선 회복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러기 위해서 이 단계에서 해야 할 것이 있다. '5.24 조치'를 먼저 풀고, 상대를 향해 퍼붓는 악담도 그쳐야 한다. 천안함 사건, MB의 회고록을 통해 서서히 들통이 나고 있지만 그건 이미 남북이 서로 그 속을 훤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 아닌가, 그것 가지고 밀고댕기는 것을 잠시 덮어두어야 한다. 남쪽을 향해 사사건건 걸고 넘어지는 모습도 사라져야 한다. 차제에 그 꿈에 명분을 조금 더 붙이자면 남쪽 분들만 북을 방문할 것이 아니라 북측도 남쪽을 방문, 견문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를 알아가고 서로를 배워가는 자세가 '헛 꿈'을 이루는 첩경이다.

<통일 헛꿈>을 연장해 보자. 통일이라는 단어에 온갖 정치적 이론과 논리적 수식어를 갖다 붙일 것이 아니라 간명직절하게 "남북이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것"이라는 말로 발상의 전환을 가져보면 어떨까. 나는 그 가능성을 개성공단에서 발견한다. 박 정권 초기에 삐끄덕거리면서 개성공단을 몇 달 닫은 적이 있었지만 그 뒤 열었다. 닫고 보니 남북이 각각 이익보다는 손해가 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나는 통일을 인간의 고상한 이상으로서서가 아니라 인간의 이기심을 격동하고 서로 나누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서로 이익을 공유하는 데서는 이미 합의가 이뤄졌다. 그렇다면 개성공단을 더 많이 만드는 식의 접근방법은 어떨까. 그 또한 '헛꿈'일지 모르지만, 나는 개성공단을 많이 만들어갈 수록 통일은 가까워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된다. 휴전선상에 개성공단 10개를 더 만들 수 있다면 남북의 적대의식은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남북 적당한 곳에 개성공단 100개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은 통일한 것이나 다름이 없을 것이다. 이런 것이 과연 "꿈"으로만 머물러야 할 것인가. 문익환의 그 시의 끝 연이 자꾸 되살아난다.

글ㅣ이만열 교수(숙명여대 명예교수·전 국사편찬위위원장)

#이만열교수 #평통기연 #평화칼럼 #평화와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