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밭 등에 누웠다가 진드기에게 물려 고열 등의 고통을 겪는 '쓰쓰가무시병'으로 숨진 사망자의 경우 발병 후 진단하기까지 2주 가까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사례의 7.3일에 비해 5일 이상 더 긴 것으로 조기 치료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2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쓰쓰가무시증으로 숨진 23명을 역학조사한 결과 발병일로부터 진단일까지 평균 진단소요일은 12.7일이었다.
의료기관 첫 내원까지는 평균 5.3일이 걸렸고, 쓰쓰가무시증 관련 치료는 발병일 이후 8.5일에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발병 후 2일 이내에 병원을 내원한 경우가 10명(43.4%)이었고, 나머지 13명은 발병부터 병원 내원일까지 9.2일이 걸렸다.
사망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 13명(56.5%), 여성이 10명(43.4%)으로 남성이 많았다.
평균 연령은 74세였는데 70대 이상 17명(73.9%), 60대 3명(13.0%), 50대 2명(8.7%), 40대 1명(4.3%)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사망자도 많았다.
직업은 농업 14명(60.9%), 무직 9명(39.1%)이었다.
임상증상 중에는 검은 상처인 가피(딱지)가 대부분인 21명(91.3%)에서 확인됐고 사망자 중 17명(73.9%)은 기저질환이 있었다.
기저질환은 고혈압이 8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당뇨 4명(17.4%), 심장관련 질환 3명(13.0%) 순이었다.
합병증으로는 패혈증이 13명(56.5%)으로 가장 많았고, 폐렴 4명, 횡문근융해증, 급성호흡부전 급성신부전 각 2명, 급성심근경색, 심낭염, 폐부종, 뇌수막염, 심방세동, 범발성혈관내응고증후군 각 1명 등 다양했다.
질본 관계자는 "가을철에 발열이 있는 환자를 쓰쓰가무시증으로 진단할 때 가장 중요한 임상소견으로 가피를 확인하는 것인데 국내 환자의 가피발견율은 지역별 차이가 있긴 하지만 보통 70~8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피가 확인되지 않더라도 가을철에 전형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는 패혈증이나 호흡부전증후군, 뇌막염, 혼미한 의식상태를 보이는 경우에는 조기 치료가 중요한 쓰쓰가무시증을 고려해 초진의사는 진단이 나오기 전이라도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농촌의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고령자는 가을철에 발열, 두통, 오한 등의 증상을 보일 경우 반드시 초기에 의료기관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