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까지 무너뜨린 '아랍의 봄' 어디까지 갈까?

중동·아프리카
윤희정 기자
튀니지-이집트-리비아-예멘 이어 바레인도?; 중국·북한도 '긴장'

예멘을 33년간 장기 집권했던 알리 압둘라 살레(69·Salehr) 대통령이 권력이양에 서명하며 사실상 퇴진하면서 '아랍의 봄'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리비아의 '카다피 체제' 붕괴 이후 그동안 아랍권에서 거센 퇴진 압박 속에 힘겹게 정권을 유지하는 정상은 살레 대통령과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둘 뿐이었다.

두 정상 가운데 살레가 먼저 퇴진을 선언하면서 이제 남은 사람은 아사드.

앞서 30년간 집권한 아버지 하페즈 알 아사드로부터 권력을 승계받아 11년째 집권하고 있는 아사드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시리아에서는 민주화 시위에 대한 당국의 초강경 유혈 진압으로 35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온 것으로 유엔(UN)은 추산하고 있지만 아사드의 권력 집착 여전하다.

아사드는 최근 서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시위대에 굴할 의사가 없음을 밝히며 "시위대와 충돌은 계속될 것"이라며 밝혀 강경 진압이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같은 강수와 함께 아사드는 국가비상사태법을 48년만에 폐지하고 복수 정당을 허용키로 하는 등 각종 유화책을 내놓으며 사태를 수습해 보려 애쓰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번 살레의 퇴진은 같은 아라비아반도의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 일부 아랍국가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아랍의 봄' 바람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넘어 중국과 북한까지 전달이 될지 관심있게 지켜봐야할 것이다.

#아랍의봄 #중동민주화 #영향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