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 법제화로 규제하면 '다양성 교육' 죽는다"

교단/단체
교육·학술·종교
오상아 기자
saoh@cdaily.co.kr
크리스 윤 교수, 대안학교 법제화 앞두고 한국크리스천스쿨협의회 심포지움서 발제;다양성 교육의 성공모델 '미국 차터스쿨' 들여다보기
▲크리스 윤 교수   ©미주기독일보 DB

[기독일보 오상아 기자] 과연 대안학교를 '통제와 관리 중심으로 법제화'하는 것이 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대안학교 본래 취지에 부합되는 것일까. 그 해답에 대해  미국의 대안학교격인 '차터스쿨'의 모델을 통해 모색해보는 자리가 마련돼 관심을 끌었다. 

한국크리스천스쿨협의회(AKCS) 심포지움이이 '대안학교 법제화에 따른' 「한국 크리스천 스쿨의 정체성과 나아갈 길」을 주제로 19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 연지동 한국여전도회관에서 개최됐다.

한인 1.5세 교육전문가 크리스 윤 교수(아주사대학교 교육대학원)는 이날 <다양성 교육의 성공모델: 미국 '차터스쿨'(charter school)이 대안학교에 주는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며, "미국 차터스쿨은 미 교육에 있어서 가장 성공적인 교육 개혁의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고등학교때 미국에 간 1.5세로, 미국 교육청 초등학교 교사를 거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교수과 바이올라대 교수를 역임했다.

또 2008년에는 미국에서 한인으로는 처음으로 LA 터헝가에 위치한 기독교사립학교 풋힐크리스천스쿨을 인수해 운영하기도 했다. 이 학교는 1990년 미국 교단(Four Square)에 의해 설립돼 18년간 운영되다 문을 닫아 자신이 맡았다고 했다. 또 한국에서는 송도 인터내셔널 학교를 유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자신의 자녀의 미국학교 생활 이야기를 전하며 '창의성 교육'에 대해 소개했다.

윤 교수는 "자녀들이 미국에서 다니는 학교에서 4~5월 창의적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1페이지 정도 가이드라인이 있었고, 파워포인트를 만드는데 유튜브를 집어넣어야 되고 등등 해야할 것들이 있었다"며 "모든 학생이 창의성 프로젝트를 똑같이 했다"고 말했다.

그는 "창의성이라는 것은 '씽크 아웃사이드 박스(Think outside box)', 즉 틀에서 벗어나는 것인데, (오히려) 모든 선생님들이 '이것을 해야만 창의성이야' 하면서 바깥으로 넘어가면 점수를 깎는다. 창의성 교육도 '이렇게 이렇게 해야된다. 문제 해결도 이렇게 이렇게 해야지 다른 방법으로 하면 안된다' 하는 것이다"며 "저는 박사 논문을 창의성에 관한 것을 써서 이번에 아이 과제를 도와줄 때도 일부러 한가지를 빼고 했더니 점수를 못 받았다"는 웃지 못할 사연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미국 학교에서는 몇가지 하면 안되는 것이 있다. '이것 이것은 안돼' 하면 다른 모든 것은 할 수 있다는 전제다"며 "한국은 '이것 이것 할 수 있어' 하는데 이 말은 다른 모든 것을 할 수 없다는 전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독교학교에서는 인성교육을 중요시한다"며 "단체나 집단, 정부에서 학교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컨트롤하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 입시중심으로 갈수밖에 없다"고 우려하며 "미국에서는 어떤 식으로 공교육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대안교육에서 이뤘는지 말씀 드리겠다"고 말했다.

◆ 교장 비롯 전 교사가 200명여 명의 아이들 이름과 정환경까지 알아 개인적 접촉 편해

▲풋힐크리스천스쿨 학생들의 모습.   ©풋힐크리스천스쿨

크리스 윤 교수는 "차터 스쿨(Charter school)은 정부에서 교육개혁으로 1991년부터 시작했다"며 "1991년 미네소타에서 시작해 지금 캘리포니아에는 1930개가 있다. 제가 시작했던 2008년도에는 캘리포니아에 680여개가 있었다"며 "지금은 44개주에 차터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차터스쿨의 기본적 모델은 다양성 모델이며, 규제에서 풀려나는 것이 기본적인 핵심 철학이다"며 "기본적 개념은 검증된 개인이나 단체에게 공립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니 자격요건을 갖춰야 하고, 그것을 갖추면 주정부에서 100% 지원해준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설립자 개인의 교육철학이 들어가는 것이다"며 또 "교사 모집, 교과서 채택, 커리큘럼, 수업일, 수업 시간 등 굉장히 자율적인 것이 많다. 단지 주어진 예산에서만 하면 된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실패한 경우도 많다. 2000년대 중반에는 10개가 오픈하면 2개가 문을 닫았다. 설립한 사람의 재정적인 문제가 있다든지 욕심을 부려서 그랬지만 2000년대 중반이 지나며 시스템이 잡혀가기 시작했다"며 "미국 교육에 있어서 가장 성공적인 교육 개혁의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차터스쿨의 현황에 대해서는 2013년 말 230만명(2.30million)이 다니고 있다고 했다. 가장 많은 학생이 다니는 도시는 LA로 10만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LA의 전체 학생 60만명 중 10만명인 16.67% 정도가 차터스쿨에 다니고 있다. 뉴욕은 5%, 뉴올리언스는 75%가 차터스쿨에 다니고 있다.

크리스 윤 교수는 "차터법은 주(州)법이기 때문에 주에서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잘 되는데도 있고 잘 안되는데도 있다"며 "캘리포니아에서는 굉장히 성공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소개한 뒤,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며 "2008년 LA교육청에서 허가 받고 5년 계약을 했는데, 교육청에서는 5년 기한을 두고 못하면 문을 닫게 하고 잘 하면 계속 연장해준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서양 교육은 과정에 포커스를 두지만 동양은 교육의 양이다. 6.25 전쟁에 대해서 교과서 1시간을 읽으면 지식의 양은 많아지겠지만 마음에 남는 것은 없을 수 있다. 그런데 서양에서는 인터뷰도 하고 전시관 이런 데를 가보고 하면 학생에게 임팩트(Impact)를 줄 수 있다"며 "미국 교육은 지식의 양에 있어서 약하지만 감동과 임팩트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런 면에서 대안학교의 장점은 교과서에 머물러 있지 않고 바깥에서 듣고 보고 만지고 하면서 인생에 있어 임팩트를 줄 수 있는 교육이 아닐까 한다"며 "이러한 포커스를 가지고 간다면 대안학교, 크리스천 학교, 국제학교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차터스쿨의 장점으로 "작은 학교라 맞춤교육이 가능하고 아이들의 학습 스타일(Learning Style)을 알게 된다"면서 "이 아이는 만지고 하는 걸 좋아하고 저 아이는 책 읽는 걸 좋아하고, 어떤 아이는 말하는 것을 좋아하고 이런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작은 숫자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전했다.

윤 교수는 "총 학생의 수가 적게는 100명에서 많게는 300명인데 200명 정도가 많다. 한 학급에 20명 미만이다"며 "교사 , 교장이 대부분의 학생 이름을 알고 가정생활까지도 알아서 편안하게 개인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고 차터스쿨에 대해 설명고 "작은 학교를 지향하니 인성교육을 다 할 수 있고, 작은 학교라 규제가 적고 적성과 개성, 필요에 따라 맞춤교육을 해줄 수 있다"며 수업 일수, 수업 시간의 자율성 등도 장점으로 꼽았다.

덧붙여 그는 "설립자의 비전과 교육철학을 존중해 테크놀로지(Technology), 예술(Art) 등 특성화해서 교육할 수도 있다"며 캘리포니아 하이텍 고등학교(High Tech High School), 르네상스 스쿨(The Renaissance School)등을 소개했다.

이어 "2010년도 캘리포니아 상위 10% 학교를 꼽아 보니 당시 차터스쿨 789개중 172개인 21%가 그 안에 들었다. 일반 공립학교는 7432개 중 650개인 8%가 들었다"며 "학생 상위 10%인 전체 22만6,194명 중 차터스쿨 학생이 5만1,227명(22.6%)이나 들었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LA교육청에서 공립학교는 학력이 떨어지고 차터스쿨 을 통해 성과를 많이 봤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도와준다"면서도 "공립학교는 차터스쿨이 생기면 자기네 학생이 줄어들고 줄어든 출석 학생수만큼 교육청의 지원 비용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롱비치의 경우는 차터스쿨 허가를 안해주기도 한다. 그런 문제점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차터스쿨의 장점에 대해 윤 교수는 "차터스쿨은 부모참여가 굉장히 많다"며 "부모들이 무조건 일년에 30~50시간 참여해야 한다. 어떤 학교는 30시간 어떤 학교는 50시간이다"며 "(저희 학교의 경우)참여를 안하면 시간당 10불씩 물린다. 부모들이 참여해 만족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참여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운동장과 상담사 등 자원(resource)이 제한될 수 있고 설립자의 실수로 학교가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 문제 등을 들었다.

▲풋힐크리스천스쿨의 점심 시간   ©풋힐크리스천스쿨

◆ 속 썩이던 학생 졸업해 변한 모습 보며 '내 눈물 헛되지 않았구나' 보람 느껴

그는 자신이 운영하는 풋힐크리스천스쿨에 관해 소개했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있으며 학생은 120명 가량이며 교직원은 18명. 유치원생은 4~5명, 초등학교 학생은 10~15명 정도된다.

미국 교단에서 18년 운영하던 기독교 사립학교라 비영리단체에서 운영하고 있었는데 운영자를 여름에 만나 윤 교수가 가을에 오픈해야 되는데 이사회(board)를 만들 시간이 없어 비영리단체를 없애고 급히 일반시청에 가서 사업자등록을 했다.

그는 "교육청에서는 돈을 대주지 않기 때문에 '내가 이러이러한 상황으로 영리단체로 바꿨다'고 말하면 '네가 돈 투자 잘 해서 학교 운영만 잘 하면 상관 없다'고 한다"며 "(사립학교는) 재정적인 도움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당국이) 전혀 관여를 안한다. 미국에서 기독교 사립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은 총 8.5%로 굉장히 많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의 활동을 담은 사진을 보여주며 윤 교수는 "교실에서 공부하는 사진보다 야외 활동을 하는 사진이 많다. 야외활동을 굉장히 많이 했다"고 말하며 "'오늘은 야외활동 가자' 이렇게 스케쥴을 바꿔서 교사들과 회의해서 결정하기도 한다. 학생들에게 내적 동기부여를 많이 해주려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초등학교는 점수제를 없애버렸다"며 "그래도 국가 테스트를 보면 상위 20% 안에 든다. 놀고 자율적으로 공부 시키는데도 된다"고 강조했다.

풋힐크리스천스쿨이 있는 동네에서 이 학교의 초등학교 프로그램이 굉장히 유명했고 한다. 초등학생은 더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왔고 고등학교의 경우는 대학교 갈 수 있는 자료들을 제공해야 하는데 제한된 리소스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학생 모집에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 윤 교수의 설명이다.

윤 교수는 "고등학교는 문제아도 있었고 믿지 않는 아이도 있어서 늘 초등학교 교실을 보면 미소가 지어졌는데 고등학교 쪽만 보면 고민이 됐고 눈물을 많이 흘렸다"며 "그런데 문제아였고 걔 때문에 속상했는데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2~3년 후에 보면 정말 든든해져 있어 '몇년 지나니 변하구나. 내가 눈물 흘린 것이 헛되지 않았구나'하고 보람이 됐다"며 "이런 것은 공립학교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시스템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덧붙여 "기독교사립학교라 정부에서 관여는 안하지만 학점 인정 기관인 AACS(편집자 주: 미국 크리스천사립학교 연합으로 미국 47개주에 연합회원을 가지고 있다)나 학력인증기관 미서부교육연합회 와스크(Western Association School and College, WASC)에서 인정받으면 '이 정도 기준이 있구나' 하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며 "우리 학교는 AACS에서 인정하는 학교이다. 세계적인 학점 인정 기관인 와스크는 아직 준비가 안됐다"고 했다.

▲19일 오전심포지움 발제자로 나선 정근모(왼쪽에서 세번째) 전 명지대 총장(한국크리스천스쿨협의회 이사장)과 (왼쪽에서 네번째) 제언한 김바울 목사(한국크리스천스쿨협의회 회장, 등대국제학교 교장)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오상아 기자

◆ 대안학교 법제화로 규제하면 '다양성 교육' 죽는다

한국의 대안학교 법제화에 대해 크리스 윤 교수는 먼저 "하나하나 규제를 하면 설립자의 독창성, 설립자가 가진 비전 , 커리큘럼이 일반학교와 별 차이가 없어져 다양성 교육이 죽는다. 어느 학생이 어느 학교를 다녀도 일률적인 것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하며 "자율형사립고등학교도 얼마나 됐다고 없애려고 하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미국 교육부 장관은 1993년 1월부터 현재까지 21년 동안 4명이 있었다"며 "그동안 한국에는 1993년 2월부터 지금까지 오병문 장관부터 황우여 장관까지 23명이 있었다. 또 중간에 물려난 분이 있어 직무대행은 4명이 있었다"며 "이렇게 자꾸 바뀌는데 일률적인 철학을 가지고 교육을 할 수 있겠는가?"하며 큰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이날 대안학교에서의 '글로벌 리더 교육과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의 교육이 함께 갈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윤 교수는 먼저 '글로벌 리더'와 '글로벌 교육'의 개념 정립부터 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글로벌 리더가 된다고 보지 않는다. 글로벌 리더를 상위의 리더십으로 보고 경시대회 1등 하는 아이들을 뽑으려면 아이들이 선별되는 과정부터 달라야 한다. '글로벌 리더' 교육은 상위 1% 영재 교육을 통해서 해야한다"며 "미국에서 영재교육은 많이 활성화되고 항상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교육'에 대해 설명하며 "미국은 이번 2014년 가을학기부터 교육 대수술을 시작한다. 20년동안 가장 강력한 개혁이 시작되고 있다"며 "거기서 강조되는 것이 글로벌 교육인데 개념을 창의성, 협력, 대화, 사고력 개발이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으로 학력이 떨어지는 아이들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커리큘럼도 180도 바뀐다. 2년 후면 SAT가 완전 바뀐다"며 "저는 교육대학원 교수니 2년 전부터 훈련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끝으로 크리스 윤 교수는 "같은 교실 안에 여러 그룹 있을때 좀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을 올려주고 잘하는 아이들을 올려줄 수 있는 방법은 교수(teaching) 모델 중에 수십가지가 있다"며 "아이들 필요에 따라서 그런 모델을 사용하면 일반적인 강의를 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나갈 수 있다. 그러니 교사 훈련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크리스윤교수 #차터스쿨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