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사망 한달> ①리비아 앞날은

중동·아프리카
새 과도정부 국민 기대 부응이 '관건';분파갈등 봉합·무기 회수 등 과제도 산적

리비아에서 42년간 독재 권력을 휘둘러 온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망한 지 오는 20일로 한 달이 된다.

국가과도위원회(NTC)가 카다피 사망 후 해방을 공식 선포하고 나서 리비아 전역이 빠르게 안정을 되찾고 있다.

카다피의 차남 사이프 알 이슬람의 행방은 여전히 묘연한 상태지만, 카다피 사망은 사실상 리비아의 새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

그러나 외부인의 시각에서 여전히 혼돈과 불안의 땅으로 인식되는 리비아의 앞날은 국민의 기대에 과도정부가 어느 정도 부응할지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혼돈의 리비아 앞날은 = 카다피는 지난달 20일 자신의 고향 시르테에서 도주 중에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누가 카다피를 쐈는지와 사망 경위 등에 대해서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39;포스트 카다피 체제&#39;의 리비아가 과연 어떤 모습을 갖게 될지가 현재 국제사회의 가장 큰 관심이다.

이제 카다피 시절 압제의 공포에서 확실히 벗어난 리비아 국민은 한결같이 &quot;카다피 정권 시절보다는 더 행복해 질 것&quot;이라 낙관하고 있다.

NTC도 카다피의 사망을 확인하고 나서 사흘 뒤 리비아가 해방됐음을 공식 선포하며 새 국가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리비아 임시 총리로 선출된 전기공학자 출신의 압델 라힘 알 키브는 새 정부 출범에 앞장서 20일 새 내각 구성을 발표할 예정이다.

내각이 구성되면 새 과도정부는 리비아를 통치하며 제헌 국민의회 구성을 준비하게 된다.

리비아 과도정부가 발표한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20개월 로드맵에 따르면 키브 총리가 이끄는 새 과도정부는 8개월 뒤 선거를 치러 제헌 국민의회를 구성하고, 국민의회가 첫 회기를 시작하면 물러날 계획이다.

국민의회는 이후 두 달 안에 새 총리 이하 정부를 구성하고, 새 정부가 제헌위원회를 조직해 헌법 초안을 마련하게 된다.

정부는 국민투표를 거쳐 헌법을 확정한 뒤 한 달 안에 선거법을 마련해 6개월 이내에 총선을 시행한다. 총선을 끝으로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긴 일정도 마무리되는 셈이다.

민주정부 수립 일정이 마무리되면 리비아는 `온건 이슬람(moderate Muslim)&#39;을 표방하는 국가로 거듭날 전망이다.

무스타파 압델 잘릴 NTC 위원장은 &quot;새 정부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지배될 것&quot;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NTC가 &#39;포스트 카다피&#39;에 대비해 마련한 로드맵의 입헌선언문에는 &#39;리비아는 민주독립국가이고 국민이 주권의 원천이다. 수도는 트리폴리, 국교는 이슬람으로 정하고, 샤리아(이슬람 율법)를 토대로 입법이 이뤄진다&#39;라고 규정돼 있다.

◇풀어야 할 과제는 산더미 = 리비아 과도정부 내의 최대 선결 과제는 단연 화합이다.

&#39;공공의 적&#39;이었던 카다피가 40년 넘게 리비아를 철권통치하는 동안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인종&middot;부족&middot;지역 간 갈등이 해방 선포 후 서서히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NTC가 과도 정부를 이끌 때부터 불협화음이 들렸고, 내부 분열 가능성도 사실 오래전부터 예견됐다.

실제 NTC 내부에선 카다피 세력과 전투 과정에서 분란이 많았고, 반군 간에 무력 충돌이 빚어진 적도 있었다.

또 최근에는 자위야와 와르세파 등 각기 다른 지역의 반군끼리 지난 13일까지 나흘에 걸쳐 교전을 벌여 13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부상하기도 했다.

동&middot;서 간 지역 갈등과 140여 개 가문, 500여 개 부족으로 분화된 리비아 내 각 분파 간 이권 다툼은 &#39;포스트 카다피&#39; 체제가 극복해야 할 가장 어려운 과제로 꼽힌다.

트리폴리 함락 후에도 NTC가 본부를 벵가지에 둔 것이나 수차례에 걸쳐 새 내각 구성 발표를 미룬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외에도 리비아 통합을 막는 &#39;내부의 적&#39;으로는 아랍인과 인구의 10%를 차지하는 베르베르인 간 인종 갈등이 걸림돌로 남아 있다.

이슬람주의자와 세속주의자들도 새로운 리비아의 방향을 놓고 맞서고 있다.

리비아 전역에 뿌려진 무기 회수도 과도 정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리비아에서는 내전 기간 무기 창고에서 얼마나 많은 무기가 사라졌는지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최근 자위야와 와르세파 반군의 교전에서도 양측이 로켓포와 박격포, 기관총 등을 동원해 전투를 벌였다고 목격자들은 전했다.

또 대공미사일 2만 발이 회수되지 않았으며, 다량의 각종 중화기도 무기창고에서 약탈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카다피 측 군인들이 지난 8월 트리폴리를 떠나고 나서도 여전히 곳곳에 무기가 방치돼 있다. 비행기를 격추할 수 있는 첨단 미사일들도 상당수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39;포스트 카다피&#39; 시대의 리비아가 지역&middot;종파 간 갈등은 물론 무기 회수 문제 등 여러 혼란상을 극복하고 순항할 수 있을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리비아사태 #카다피사망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