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와 기업의 소득격차가 커지면서 가계에 돌아가는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
21일 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26.5%로, 매년 5.3% 늘어났다. 하지만 기업과 비교할 때 증가속도는 3분의 1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기업(법인)의 가처분소득은 80.4% 증가하며, 매년 평균 16.1%씩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국민소득에서 가계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한국은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을 보였다. 1인당 국민소득을 보여주는 국민총소득(GNI)는 지난해 2만6000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개인이 실제로 쓸수있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GNI의 절반을 조금 넘는 1만5000달러 가량이었다.
국민소득(GNI)에서 가계소득(PGDI)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이전에는 57%를 웃돌았으나 2010년부터는 55%대로 내려앉았고 지난해에도 56.1%에 그쳐 최근 5년 평균 치(56.4%)에 못 미쳤다.
이는 가계의 주요 소득원인 임금소득이 정체된 가운데 배당과 이자 소득도 갈수록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가계 내 소득 불평등도 심각해 최근 5년간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증가율은 연평균 4.7%였지만,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증가율(2.4%)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한은이 2012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의 GNI 대비 PGDI 비중을 분석한 결과, 자료를 입수할 수 있는 21개국의 평균치는 62.6%로, 한국은 밑에서 6번째를 차지했다.
#소득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