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자산 비중이 부동산을 비롯한 실물자산 쏠림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대비를 위해 연금 등으로의 다변화가 요구된다.
통계청이 7일 밝힌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2013년 3월 기준 한국의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은 73.3%이다. 부동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7.8%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1.9%포인트 줄었지만 한국인의 돈줄이 여전히 부동산에 묶여 있음을 보여준다.
2012년 기준으로 주요국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호주 61.3%, 유럽 58.3%, 영국 50.1%, 일본 40.9%, 미국 31.5%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이가 많을수록 부동산 등 실물자산 비중이 줄어드는 미국·일본 등 선진국과는 다른 모습이다. 한국은 60세 이상 가구 자산의 82.7%가 부동산을 중심으로 하는 실물자산이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역 모기지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시했지만 노령층들에겐 생소한 개념이라 수요가 적었다"며 "새롭게 시장을 만들어 부동산을 현금화, 증권화해 노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08∼2013년)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율은 연평균 2%(아파트는 2.6%)로 둔화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였음을 고려하면 실질 매매가격은 더 크게 하락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60세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실질가격)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주상철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 시대의 가계자산 관리' 보고서에서 "한국은 가계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이 70%에 이를 정도로 높아 전체 가계자산 유동성이 낮고, 부동산 가격 하락 위험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고령화가 지속되면 주택 구입능력이 있는 연령대 인구는 줄어들고, 저출산으로 가구 수도 감소하면서 주택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은퇴한 고령자가 은퇴 전의 소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주택을 내놓는 경우도 많다.
이를 위해 "부동산을 일부 매도하거나 주택연금 상품을 활용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며 "연금상품 등에도 가입해 안정적인 노후 소득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