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사연 칼럼] 국립국어원의 '사랑'의 정의 복구를 환영하며

지난 2012년 동성애를 옹호하는 5명의 대학생은 국립국어원을 상대로 '사랑'에 대한 정의를 '남녀간'의 개념에서 '어떤 상대'로 변경하게 만들었다. 이성애 중심적인 언어가 차별을 낳는다는 이유로 동성애자 등 다양한 성적지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도록 그 의미를 넓혀야 한다고 항의한 것이다. 결국 사랑의 정의는 이들 주장대로 변경되고 말았다.

그러나 사랑의 정의를 '어떤 상대'라는 개념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모든 국민을 중성화(中性化, desexualization)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사랑의 주체는 성(性)이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사랑의 대상은 모든 것이 되어 버리고 만다. 부모와 자식도 연인이 될 수 있으며, 더구나 '상대'(뜻: 서로 마주 대함. 또는 그런 대상)라는 말에는 '사람'이라고 한정되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물이건 사물이건 상관이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근친상간도, 수간(獸姦)도, 일부다처도 모두 사랑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번에 원상 복구된 단어들 '사랑·연애·애정'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그렇기에 국립국어원은 단어의 정의가 오해의 소지가 충분히 존재하고, 사회가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의미의 전형성이 파괴된다는 것을 인정하여, 2014년 1월부로 다시 원래의 뜻으로 돌려놓았다.

언어는 정치가 아니다. 언어자체가 법을 제정하게 하거나, 그것에 이용당한다거나, 또 사회 보편적 정서와 인식을 뛰어 넘을 정도의 포괄적 정의를 수용한다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국어원의 결정은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동성애 옹호론자들은 언어 자체의 가치중립성보다도 제도 개혁이 우선이고, 더구나 세상을 양성(남과 여)적 기준이 아닌, 중성적 기준인 사회로 포맷(format)시키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 당시 동성애를 옹호했던 대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언어에 사회의 인식이 반영된다는 것은 맞는 말이겠지만, 동성애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단어의 행위주체에 동성애자들을 감안한 상태에서 정의를 내리게 되면 이와 동시에 대립되는 가치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단어의 기능을 혼돈상태로 만드는 것이며, 현재의 법률을 뛰어 넘는 해석까지도 가능하게 만든다. 즉, 동성애 옹호자들이 적극 지지하는 차별금지법의 제정에 '사랑'이라는 단어는 그 하수인으로 전락되는 것이다.

동성애 가치가 개입된 단어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단어의 개념과 그 주체를 파괴하거나 무기력하게 만든다. 인간의 인권이 존중되어야 하고, 차별과 배제가 있어서는 절대로 안 되겠지만, 동성애를 단어의 정의에 포괄시키게 되면, 단어 자체에 혼란이 올 뿐 아니라 단어의 주체와 단어의 정의를 만드는 모든 사람에게도 혼란을 주게 된다. 하지만 이런 혼란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차별은 안된다는 논리를 내세워 이 혼란을 묵살하고 동성애자 옹호자들은 자신들의 존재감을 사랑의 정의를 뒤흔드는 방법을 통해서 나타내고자 한다. 이것을 관철시키기 위해 모든 움직임을 시도하고 있다. 이것은 정치적인 행위인 것이다.

동성애 옹호자들은 국립국어원을 정치적으로 매수하려는 행위를 중지하길 바란다. 그리고 우리는 가치중립적인 위치에서 우리나라의 아름답고 고운 말들을 지키고 또 그것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지해 줘야 한다. 이것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며, 또 건강한 개념의 말은 그 말을 사용하는 주체를 건강하게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국립국어원 앞 1인 시위 모습.   ©동성애문제대책위원회 제공

글ㅣ건강한사회를위한국민연대

※ 사외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건사연칼럼 #국립국어원 #동성애옹호 #동성애문제 #동성애문제대책위원회 #건전한사회를위한국민연대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