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0일(한국시간) 100억 달러 규모의 양적완화축소(테이퍼링)을 단행하는 한편 금리 인상 방침을 밝히자 이같은 금융긴축기조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일부에서는 미국 실업률 증가 등을 이유로 테이퍼링 시기를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FOMC는 계획대로 테이퍼링을 추진했다.
더구나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양적완화가 종료되면 6개월후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다수 국가들이 경제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내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의 금융긴축기조로 우리 경제가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미묘한 시각 차이를 드러냈다.
송두한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미 FOMC가 과거에 천명했듯 올해안에 양적완화 축소를 마무리하고 2015년에 금리인상을 추진한다면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차근차근 양적완화 축소를 추진한다면 단계적인 대응이 가능한 만큼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송 실장은 "미국이 양적완화 및 금리인상을 서두르면 예상보다 충격이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금융시장 측면에서 단기변동성이 예상보다 커져 환율이 올라가고 증시는 더 위축될 수 있고, 해외자본유출에 따른 충격이 생각보다 클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민간소비와 기업투자가 위축됨에 따라 내수 침체 국면이 장기화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송 실장은 "외환건전성 3종세트 등 외국자본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과 해외자본의 질적개선 대책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금융정책 변화에 대해 우리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파른 금리 상승에 현상에 대비해 충격을 완화할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자본이 많이 들어오지 않는 지금의 상황으로 볼때 지금 3종 세트를 강화할 필요는 없다"며 상황에 맞는 탄력적 조절을 주문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우리 내성으로 감안하면 이번 조치가 선진국에서 빠져간 해외자본이 우리나라로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며 "투자자금이 들어오면 환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모니터링 상시화와 통화스와프 등 안전장치는 보험차원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