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의 고가약 처방이 비싼 의료비 부담의 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1인당 약품비 증가속도는 OECD 최고 수준이었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실비아 센터장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00~2009년 일인당 약품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9.8%, 2009~2011년은 5.2%로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이는 같은 기간 OECD 평균 증가율 3.5%, -0.9%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의사의 처방 건당 의약품 품목수도 2012년에 건당 3.88개로 외국에 비해 여전히 많았다.
다른 국가들의 처방 건당 의약품목수는 2005년 기준으로 미국은 1.97개, 독일 1.98개, 호주 2.16개 등이었다.
처방 한 건당 6개 품목 이상의 약품을 처방한 비율도 12.37%에 이르렀다.
특히 의료기관의 고가약 처방 비중은 2011년 상반기 21.99%에서 2012년 상반기 25.03%로 상승했다.
연구원은 2012년부터 특허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과 같은 성분으로 다른 회사에서 만든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을 동일화하면서 고가약 처방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1년 원외처방된 의약품 전체를 보면 오리지널 의약품이 사용량 기준 40.6%, 금액 기준 54.8%를 차지했다.
이에비해 고가 제네릭은 각각 23.9%, 27.5%를, 저가 제네릭은 17.3%, 13.9%에 그쳤다.
일부 의약품의 오남용도 약품비 지출을 배가시켰다.
2010년 우리나라 항생제 사용량(27.9DDD/1000명/일)은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높고 소화기계질환이 아닌 환자에게 소화기관용약을 처방한 비율은 45.06%에 달했다.
박실비아 센터장은 "건강보험 재정의 안정적 관리와 의약품의 합리적 사용을 위해서는 최초 등재 이후 축적된 자료에 근거해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효과성을 재평가해 계속 급여 여부 및 약가에 대한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