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순 열사 등 일제강점기 희생자 명단 공개

3·1운동 피살자 명부와 1923년 발생한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가 최초로 공개됐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19일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한 3·1운동 시 피살자 명부 1권 630명,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 1권 290명, 일정 시 피징용자 명부 65권 22만 9781명 등 67권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명부는 주일 한국대사관이 이전하는 과정에서 지난 6월 발견되어 8월 국가기록원으로 옮겨졌다.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내무부에 전국적인 조사를 지시해 이번 명부가 작성됐다. 1952년 2월 제1차 한·일 회담이 결렬되고, 1953년 4월 제2차 한·일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되어 주일대사관에 보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관순 열사에 대해 "3·1독립 운동만세로 인하여 왜병에 피검(被檢)돼 옥중에서 타살(打殺)당함"이라고 기록된 '3·1운동 피살자 명부'는 217쪽의 습자지로 구성된 1권으로 지역별로 총 630명의 희생자가 실려 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명부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자료를 수집한 이후 명부별 분석작업과 외교부, 국가보훈처,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결과를 공개했다.

박걸순 충북대 사학과 교수는 "3·1운동과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명부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학술연구는 물론 과거사 증빙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하며 "명부가 정부수립 직후 우리 정부차원에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했다는 사실도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일정시 피징용(징병)자 명부'는 6·25 전쟁중 남한지역만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관련부처 및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사실확인 및 검증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기록원은 향후 관련 자료를 국가보훈처 등 관련부서에 신속히 제공해 독립유공자 선정과 과거사 증빙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또 개인 명부별로 세부사항을 최대한 빨리 정리해 내년 초부터 일반국민들도 쉽게 열람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안전행정부국가기록원 #일제강점기기록물 #일제강점기희생자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