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노부부, 10쌍중 3쌍은 '빈 둥지 가구'

60세 이상 노부부만 사는 '빈 둥지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자녀가 취업이나 결혼으로 분가하는 양상이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다.

18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및 변화 분석' 자료를 보면 1990~2010년 60세 이상 가구 중 노부부만 사는 빈 둥지 가구 비중은 10.8%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미혼 자녀와 같이 사는 자녀 동거가구의 비중은 5.4%포인트 줄었다.

60세 이상 가구 중 빈 둥지 가구는 1990년 21.3%에서 2000년 30.7%, 2010년 32.1%로 꾸준히 증가했다. 20년 전에는 60세 이상 부부 100쌍 중 21쌍이 자녀와 따로 떨어져 살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100쌍 중 32쌍이 부부끼리만 살고 있는 셈이다.

60세 이상 가구 중에서 미혼 자녀와 같이 사는 비중은 1990년 20.0%에서 2000년 17.6%, 2010년 14.6%로 줄었다. 한 부모 가구(부+미혼 자녀, 모+미혼 자녀)와 기타 가구(부모+기혼 자녀, 3세대 가구, 1인 가구) 비중은 소폭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기타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이 크고 부모와 기혼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비중은 미미해 이번 통계에서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다"며 "60세 이상 가구 중 1인 가구와 빈 둥지 가구의 비중이 크다"고 말했다.

빈 둥지 가구는 자녀 동거가구에 비해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하는 비중이 높았다. 2010년 기준으로 빈 둥지 가구의 39.1%가 생활비를 본인과 배우자가 스스로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득만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가구는 23.2%였다. 공적연금이나 예·적금만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가구는 각각 7.3%, 4.5%로 집계됐다.

벌이 없이 타인의 도움을 받아 생활비를 마련하는 빈 둥지 가구도 18%에 이르렀다. 따로 사는 자녀의 도움을 받아 생활비 전부를 마련하는 가구는 13.3%, 국가·지방자치단체의 보조만으로 생활하는 가구도 3.9%였다. 반면 자녀 동거가구나 한 부모 가구는 직업소득만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16.2%)이 빈 둥지 가구에 비해 낮았다. 이들 가구는 생활비를 단일 수단에 의존하기보다는 본인 스스로 마련하거나 이웃의 도움이나 보조를 받는 등 복합수단을 활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빈 둥지 가구는 전·월세보다 자가 비중이 84.4%로 자녀 동거가구(81.4%), 한 부모 가구(65.4%)에 비해 높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주택 비중(58.2%)이 다른 유형의 가구보다 높고 아파트 비중(32.1%)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빈둥지가구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