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에서 관리중인 정수장의 절반 이상이 부식성지수(LI)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정우택 위원이 24일 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자원공사가 관리중인 정수장 중 자체적으로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정수장이 전체 정수장 개수의 60%를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010년 35개 정수장 중 수자원 공사가 정한 부식성지수 자체기준인 –1.5 이하인 정수장은 절반에 못미치는 17개였지만 이후 매년 증가해 2013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전체 37개 정수장 중 23개 정수장이 –1.5 이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기준이나 일본 기준을 적용할 경우 현재 수자원공사에서 관리중인 정수장 대부분이 부식성지수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태로 볼 수 있다.
특히 정수장 중에는 기준치의 두배가 넘는 –3.0, -3.5를 기록한 정수장도 있었으며 기준치를 초과한 대부분의 정수장이 지방에 있는 정수장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감시하고 관리해야 할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엇갈린 행보를 걷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환경부는 지난해 국내 주요 정수장 원·정수의 부식성이 높아 관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부식성지수를 수질감시 항목에 포함시켰지만 수자원공사는 부식성지수가 녹물발생의 절대적인 영향인자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상태다.
정 의원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가 명확한 조사결과와 기준도 없이 수질감시 항목으로 조사만 하고 있어 오히려 국민들의 불안만 증폭시키고 있다"며 "하루빨리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에 맞는 수질관리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식성지수(LI)는 수돗물이 금속이나 시멘트의 부식에 미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지수가 높으면 수도관의 부식이 가속되기 때문에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정수장 단계에서 부식성 관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