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군선교 비전2030 실천운동’, 이대로 괜찮은가? (2)

제24회 한국교회 군선교신학심포지엄 열려

한국교회 청년선교의 교두보인 군선교 활성화를 위한 ‘군선교 비전2030운동’이 2021년 10월 공식 선포되고 추진된 지 만 3년이 흘렀다. ‘한 영혼을 그리스도께로, 백만 장병을 한국교회로!’라는 목표로 2030년까지 매년 10만 명씩(신규세례자 6만 명, 기존세례자 4만 명), 10년간 100만 장병을 한국교회로 파송하는 이 전략은 2025년이면 벌써 추진기간의 절반이 지나게 된다. ‘군선교 비전2030운동’을 통해 지금까지 실제로 몇 명이 세례·전도·양육·파송되었는지 중간점검하고, 동시에 군선교를 통한 한국교회 청년선교가 얼마나 본질에 충실한 질적 사역으로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뼈아픈 반성과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지는 이와 관련한 주제로 최근 개최된 제24회 한국교회 군선교신학심포지엄에서 다뤄진 주요 내용을 3회에 걸쳐 보도한다. <편집자 주>

직전 육군군종목사단장인 정비호 군종목사(지상작전사령부 군종실장, 제14대 육군군종목사단장)는 한국기독교군선교신학회(회장 곽요셉 목사)가 22일 서울 사당 총신대학교 종합관 2층 주기철기념홀에서 진행한 군선교신학심포지엄에서 군 구조 변화에 따른 군선교 비전2030운동의 중간평가와 과제, 다가올 분기점인 2025년의 전망을 제시했다.

정비호 목사가 주제발제를 하고 있다. ©군선교연합회

‘군 구조 변화에 따른 비전2030실천운동의 현실과 전망’에 대해 주제발제를 한 정 목사는 “1992년부터 2023년까지 통계를 분석해 보면, 1999년 216,080명으로 정점을 찍었고, 2000년대부터 소폭 감소하다가 2007년도 샘물교회 탈레반 납치 사건이 발생했을 때 153,225명까지 감소했다”며 “2019년까지는 10만 명 이상(122,625명)을 유지하다가 2020년부터 2022년 코로나 상황에서 20,000명 이하로 떨어졌고, 2023년에 40,000명 가까이 회복했다”고 밝혔다. 이어 “진중세례운동으로 추진한 비전2020의 세례인 숫자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1992년부터 2023년까지 누적 수세인원만 460만 명 이상”이라며 “비전2030이 발등에 떨어진 불인데 왜 비전2020의 불꽃에 집착하는가. 460만 명 진중세례인 숫자를 세계와 한국 선교사에 다시 타오르기 어려운 부흥과 선교 열매로 해석하고 넘어가자”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비전2030의 분기점인 2025년에 중간평가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 정비호 목사는 “실행본부와 추진본부가 군선교 현장 동역자들을 모아 추진평가 기회를 마련해야 하고, 2024년이 지나기 전에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실행본부와 추진본부는 평가 주체가 되기보다 평가받는 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또 분석관, 평가관 임명이나 위촉을 권위 있게 계획하기 위해 지혜를 모을 것”을 당부했다.

비전2030의 중간평가 이후 추진동력으로는 추진본부의 변화와 선교 본질에의 충실, MZ세대에 대한 공감과 이해 등을 꼽았다. 먼저 추진본부와 관련해 “비전2030은 설계과정부터 군종목사단 주도였다. 속도가 나지 않는다고 차를 바꾸는 것보다 동력엔진을 점검해 봐야 한다”며 “처음부터 주행능력이나 빠른 속도와 무관하게 화려한 디자인을 강조한 컨셉카인지, 결함으로 리콜요소가 너무 많은지, 사는 집보다 비싼 값을 지불해야 타는 특권층의 럭셔리 품목이었는지 분석과 평가에 따라 추진동력(엔진)으로서 2030년까지 지속가능성을 점검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비호 목사(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답변하고 있다. ©이지희 기자

또 육군군종목사단의 ‘군 선교 비전 2030 추진결과 그래프(2022년 전반기)’를 인용해 “코로나19 상황 앞에서 파송은 어려웠고 양육조차 멈춰버렸다. 온라인 콘텐츠로 돌파구를 만들기도 했지만 2022년 전반기 파송실적이 거점교회에 16명, 기존 출석교회 연결에 323명에 그쳤다”고 알렸다. 이와 함께 “육군군종목사단은 ‘거점교회’에 대한 개념을 선교 현장에서 공감 및 소통하는데 한계를 느꼈고, ‘파송’ 실효성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비전2030 매뉴얼이 선교현장 실태를 세밀하게 분석하지 못한 이상론이었음도 인정했다”며 “코로나19 상황을 빼놓을 수 없다 하더라도 비전2030 추진본부로서 3년의 소중한 선교 시간을 별다른 파송 추진 없이 보낸 것은 부끄러운 모습이었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이런 가운데 2024년 제33회 6.25 상기 기독장병 구국성회를 청년층 눈높이에 맞춰 복음축제와 결연축제로 기획, 504명(MEAK 결연 276명, 현장 부스 결연 173명, 기신자 결연 55명)이 한국교회와 연결되면서 파송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2025년 제34회 구국성회를 한국기독군인연합회(KMCF)와 협력하여 준비하면서 보완 및 발전시킬 과제들을 정리했고, 2024년 4분기부터 일찌감치 추진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목사는 또 비전2030 추진동력으로 “자리가 아니라 선교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며 “선교 현장에서 주도권은 열정을 지닌 선교사들이 지녀야 한다. 하나님 마음을 품고 군 영혼을 다루지 않는 이들은 세력화를 위해 조직화를 추구한다. 비전2030이 예수님이 기뻐하시는 선교 프로젝트가 되려면 자리가 아니라 움직이는 발걸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비호 목사(왼쪽에서 세 번째)가 답변하고 있다. ©이지희 기자

이와 함께 ‘MZ세대 공감과 이해’를 위해 “젊은이들의 문화에 능통한 복음 전도자가 필요하다”며 “그들과 같은 시대를 호흡하며 문화 깊숙이 스며드는 이들에게는 ‘정년 연장’보다 ‘공감능력’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군선교 현장에서 만나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은 빠르게 이 시대와 소통하며 반응하는 신세대 같으나 파편화를 겪고 있다”며 “예수 그리스도 복음만이 그들 영혼의 분열증을 회복시킨다는 믿음으로 5년을 지켜내자”고 당부했다.

정비호 목사는 ‘군인교회 재편성’의 필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정 목사는 “1004 군인교회는 옛말로, 인구감소에 따른 국방인력 감소는 교회라는 건물(종교시설)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대대급 작은 규모 교회들은 연결성과 통합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도울 수 있는 자원이 모인 곳으로 통합, 연결하지 않으면 소멸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대대급교회를 살리려면 대대급교회 연합(통합)이 살길”이라며 “어느 부대로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 군종목사단이 제시하지 못하면 비전2030이 끝나기 전 텅 빈 결과물을 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교회 결연(파송) 동참 및 호응’을 위해 “지역 군인교회가 직접 결연이나 파송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면, 구국성회는 적극 활용할 선교 시간과 공간”이라며 “더 확장성을 갖고 한국교회에 청년선교 관심을 촉구하는 미디어 홍보를 추진한다면 5년 동안 파송 선교열매를 맺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로는 △거점교회 선정에서 홍보교회 참여로 전환 △지역마다 청년공동체 모임 확보 △브리스길라-아굴라 프로젝트를 육군미자립선교위원회를 후원하는 교회로 연결할 것을 제안했다.

군선교신학심포지엄 주요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지희 기자

비전2030의 또다른 추진동력으로 ‘군 선교신학 군종분야 전문성 강화’도 강조했다. 정 목사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스라엘-하마스(헤즈볼라) 전쟁을 지켜보며 군종목사단은 진중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분석하며 ‘선교신학’으로 정교하고 세밀하게 다듬는 전문 역량을 키워야 한다”며 “군선교신학심포지엄을 군종목사단이 ‘전장윤리’ 같은 군종교리나 신학주제를 뽑아내 열띤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전문성을 갖춘 군종목사를 신학대학 강단에 세워 군선교신학의 위상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계속>

#비전2030실천운동 #비전2020 #군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