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친밀함에 대한 고민은 더 이상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친밀함에 대한 뿌리 깊은 열망을 괴로울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저자 헨리 나우웬은 목회 상담자로서 겪은 폭넓은 경험을 토대로, “하나님과 맺는 관계, 동료 인간과 맺는 관계에서 어떻게 만족스러운 친밀함을 찾을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룬다.
그는 친밀감과 거리감의 균형, 모든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관계를 맺는 데 따르는 문제점, 그리고 친밀함과 사역자의 성, 기도, 믿음, 정신 건강과의 관계를 풍부하고 통찰력 있게 탐색해나간다. 또한, 이런 친밀함을 누리지 못하면 우울해지거나 삶과 사역에서 방향 감각을 잃게 됨을 알려 준다.
저자는 책 속에서 “그러나 이제 우리를 믿는다면서 그 사람이 말했다. ‘친구들이 내 참모습과 내면의 감정을 바로 안다면 더 이상 나를 쳐다보지 않을 거야. 다들 위선자인 내게 침 뱉고 떠날 거야.’ 이 사람은 닫힌 벽을 과감히 뚫고 나왔다. 논리를 뛰어넘어 수치의 벽을 허물었다. 솔직한 고백이 하나의 가능성임을 믿었다. 이렇게 안일의 벽을 허물고 눈물로 자신의 가장 깊은 절망, 약함, 미움, 질투, 비열함, 혼미한 내면을 털어놓을 수 있다는 것은, 작으나마 타인들이 자신을 탈취하여 파괴하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있다는 뜻이다. 누군가한테서 ‘두려워 말고 말하라’는 음성이라도 들은 듯이 말이다”고 했다.
이어 “우리 삶에도 사랑하는 이에게 자신의 참 자아를 내보일 수 있었던 시간이 간혹 있었을 것이다. 대단한 성공뿐 아니라 약점과 아픔까지, 선한 의도뿐 아니라 못된 속셈까지, 빛나는 얼굴뿐 아니라 어두운 그림자의 모습까지도 말이다.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지만 그것을 계기로 새로운 지평, 새로운 생활 방식이 열릴 수 있다. 이렇게 닫힌 벽을 허무는 일을 흔히 회심 체험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급작스레 찾아올 수도 있고 천천히 점진적으로 찾아올 수도 있다. 사람들은 우리를 정신 나간 이상주의자, 비현실적인 몽상가, 골수 낭만주의자라 놀릴지 모르지만, 우리는 거기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 평화와 용서와 정의와 내적 자유는 단지 말 이상의 것이라는, 전에 몰랐던 새로운 차원의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회심이란 사랑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일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탈취의 형태를 초월하는 이 사랑의 존재 형태를 우리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사랑의 기초는 한쪽에서 상대편의 문제를 듣고 이해하며 품어 주려는 마음에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랑의 기초는 피차간에 자신의 자아를 온전히 고백하는 데 있다. 그럴 때 ‘나의 힘이 곧 너의 힘’일 뿐 아니라 ‘너의 아픔이 곧 나의 아픔이고 너의 약함이 곧 나의 약함이며 너의 죄가 곧 나의 죄’라고 말할 힘이 생긴다”고 했다.
끝으로 저자는 “사랑이란 바로 약자의 친밀한 교제 속에서 태어나는 것이다. 이것이 사랑의 첫 번째 특징이다. 진정으로 의존이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은 가장 실존적인 체험으로 상대를 초대하는 일이며, 그럴 때 우리의 삶은 새로운 차원에 들어선다. 이렇게 연약함을 서로 나눌 때 인간은 폭력을 극복할 수 있다. 다들 돌을 던질 자세를 취할 때 말도 돌만큼 날카로울 수 있다 누군가 나서서 ‘죄 없는 자가 먼저 치라’고 용감히 외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