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존 폴 레더락은 평화학자이자 갈등전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국제분쟁 조정가다. 니카라과, 소말리아, 북아일랜드, 콜롬비아, 네팔, 필리핀 등 전쟁으로 피폐한 곳에서 반정부 단체와 정부 최고위급 관료들의 자문에 응하며 평화 세우기에 매진해 왔다. 그는 평화가 상상력과 언어의 한계 안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25개국의 갈등과 분쟁 현장에서 참된 화해를 추구하며 살았다.
전쟁과 갈등으로 신음하는 지구촌 곳곳에서 평화를 추구하기란 쉽지 않다. 민족국가의 분열에서부터 종교 갈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는 경험은 내면의 평화를 좀먹는 일이기도 하다. 지극히 어렵고, 고통스럽고, 종종 폭력적이기까지 한 상황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레더락은 ‘화해’야말로 평화의 궁극적 종착지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은 레더락이 걸어온 길을 함께 걸어 보자는 초대장이다. 여기에는 화해의 여정을 걸어간 사람들의 삶이 들어 있다. 자신을 포함하여 사선을 넘나드는 사람들의 긴장, 갈등, 위협, 폭력의 민낯은 물론 그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인간의 연약함, 관계의 위태로움, 평화의 취약성, 보장되지 않은 화해의 절박함을 세세히 들여다보도록 초청한다.
저자는 책 속에서 “갈등은 여정 같기도 하다. 우리는 혼란이나 문제, ‘상황’에 ‘빠졌다가’ 거기서 ‘나오는’ 이야기를 한다. 어떤 문제에 대해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누군가 터무니없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 그가 ‘어디로 향하는지’ 파악하려고 한다. 우리는 여정을 이야기한다. 인간의 다른 어떤 경험보다도 갈등 속에서 새롭고 심오한 방식으로 자신과 타인을 바라보며, 우리 안에 깃든 사랑과 진실을 회복하려 한다. 우리가 주고받는 말과 당면한 문제들 너머를 볼 수 있다면, 우리는 하나님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맞추려고 꿈을 조정하거나 포기한다. 따라서 현실적이고자 하는 욕망은 우리가 주변 상황을 객관적이고 설명하는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또한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두 발을 디디게 한다. 그러나 그런 도전 과제가 나타내는 현실로 자신이 규정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이해한다고 해서 마땅히 그래야만 하는 상황으로 단순히 수용해서도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뿌리 깊고 위협적인 갈등의 한가운데서 하나님의 얼굴을 알아보고 발견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우리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이 아닌 원수의 얼굴에서 말이다. 원수에게서조차 하나님의 얼굴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신앙인인 우리는 어떤 꿈을 갖고 있나? 만물이 화합하는 화해의 꿈은 과연 불가능한 것인가? 우리의 꿈과 신념은 오늘날의 숱한 도전 앞에서 변화의 힘을 발휘할 수 없는가? 그 꿈과 신념은 우리 창조주의 꿈이 아니던가? 우리는 어떤 하나님을 믿는가?”라고 했다.
끝으로 저자는 “화해를 향한 여정은 우리에게 모순을 끌어안으라고 한다. 우리는 우리의 꿈과 주변에 보이는 현실 사이에 끼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는 안 된다. 화해를 향해 나아가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꿈을 품고서 발을 땅에 디디고 현실적인 문제의 파동을 고스란히 느끼며 머리를 구름 위에 두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