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연일 이슬람 관련 구설에 오르내리고 있다. 대구 대현동 주택가에 모스크를 건축하는 문제로 4년째 갈등을 빚은데 이어 이번엔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한 갖가지 사업과 특혜 논란이 말썽이다.
대구시가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 추진 계획을 처음 발표한 건 지난해 8월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시 차원에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내용을 소상히 밝혔다. 그러나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해 할랄 인증 비용을 지원하고 현재 5개인 할랄 인증 업체 수를 2028년에 10배 늘린다는 내용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국민 세금으로 이슬람 포교를 지원할 수 있는가 하는 논란과 함께 특혜 시비가 일고 있다.
대구시의 ‘할랄’ 프로젝트는 오는 2030년 대구경북신공항 개항에 맞춰져 있다. 그에 앞서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함으로써 공항과 배후도시에 기업, 연구소 등을 모아 경쟁력을 갖춘 식품산업 거점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대구시 발표에 따르면 할랄산업단지는 식품산업클러스트 5개 단지 중 한 곳에 세워지게 된다.
문제는 대구시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를 시민의 의견도 물어보지도 않고 시장과 공무원 주도로 추진하는 데 있다. 대구지역 기독교시민단체들이 일제히 반대하며 들고 일어난 것도 시가 국민의 막대한 세금을 투자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찬·반 의견을 묻는 공청회조차 개최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기독교계는 대구시가 추진하는 ‘할랄’ 산업이 필연적으로 이슬람의 확산을 가져올 것이란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슬람의 포교수단 중 하나인 할랄식품을 단순한 비즈니스 차원으로 여겨 추진하는 대구시의 행정이야말로 시민을 기만하는 것이란 주장이다.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락된 것’이라는 뜻으로 생활 전반에 걸쳐 이슬람 율법에서 사용이 허락된 것들을 의미한다. 음식뿐 아니라 의약품과 화장품 등 생활 전반에 사용되는 많은 것들이 ‘할랄’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중 ‘할랄식품’은 이슬람 율법이 허락해 무슬림이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규정돼 있다. 특히 고기의 경우 이슬람식 도축방식인 ‘다비하’에 따라 도축한 고기만을 인정하는데, 돼지고기를 비롯해 이슬람 경전인 꾸란이 금하는 건 뭐든 금지 대상이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 게 ‘다비하’, 즉 이슬람 전통의 도축 방법이다. 성인 무슬림이 도축해야 하는 조건을 지켜야 하며 도축할 때 동물의 머리를 이슬람 성지인 ‘메카’로 향하게 한 다음 이슬람 종교의식인 ‘타크비르(Takbir)’ 곧 ‘알라의 이름으로’ 혹은 ‘알라는 가장 위대하다. 알라 외엔 다른 신이 없다’를 반드시 외치고 도축해야 한다.
이토록 철저한 계율과 종교 관습을 이슬람과 아무 상관이 없는 나라에서도 해야 하는 게 할랄이 가진 함정이다. 이슬람의 종교 색깔을 이슬람 신도뿐 아니라 전 세계에 퍼뜨리려는 포교의 한 방편으로 이를 단순한 비즈니스 차원으로 받아들이는 것만큼 위험한 일도 없다.
대구시의 일방통행에 기독교가치연대, 대구홀리클럽, 대구할랄대책목회자협의회 등 50여 개 단체로 구성된 대구할랄산업반대시민연대(시민연대)가 반기를 들었다. 시민연대는 ‘대구시할랄식품밸리반대 100만서명운동’과 함께 27일 오후 대구시 반월당 네거리에서 대구할랄벨리조성 반대 시민대회를 열기로 했다. 할랄벨리 조성사업의 부당성과 함께 시민들에게 대구시가 추진하는 할랄 사업의 위험성을 알리겠다는 취지다.
시민연대는 집회에 앞서 발표한 성명에서 대구시가 추진하는 할랄식품 밸리 조성과 할랄인증지원은 “명백한 이슬람 종교 행위”라며 “할랄식품을 제조하는 할랄 인증에 국민 세금으로 해당 기업을 지원하는 특정 종교에 대한 특혜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구시가 할랄 사업을 추진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6년에도 ‘한국형 할랄 6차산업 육성’ 사업계획을 발표했다가 시민들과 교계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계획을 접었다. 그런데 10년도 안 돼 다시 대구경북신공항 개항을 구실로 할랄식품단지를 건설하겠다고 하니 민의를 무시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대구시가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에서 노리는 건 경제적 이득 효과, 즉 지역 경제 활성화일 것이다. 하지만 도리어 갈등과 반목이 분출하고 결과적으로 이슬람에 대한 거부감이 확산한다면 이건 돈의 가치로 매길 수 없는 손해로 돌아올 수 있다.
2011년 1월 미국 기독교방송인 CBN은 70억 불 규모의 프랑스 할랄 산업의 약 60%를 테러 단체인 무슬림 형제단 산하 기관들이 장악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따라서 할랄 인증을 위한 소요 비용을 정부가 지원하고 온갖 특혜를 주는 건 국민 세금으로 이슬람을 확산시키는 포교 자금 혹은 이슬람 테러 자금을 지원하는 것과 같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현동 모스크 건축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자신의 SNS에 “이슬람만 안 된다는 건 종교의 자유 침해다”라고 쓴 글을 올렸다가 큰 곤욕을 치렀다. “이슬람만 안 되는 게 아니라 이슬람이라서 안 되는” 것을 온 국민이 다 아는데 시장만 그걸 모른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대구시는 사업의 경제적 측면만 따져 무리하게 일을 벌일 게 아니라 국민, 종교계가 무얼 걱정하는지부터 파악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